나의 꿈은 내가 되는 것이다
허병민 지음 / 지식공간 / 2014년 4월
평점 :
절판


 

 

 

 

 

 

 제목이 참 맘에 든다. 하지만 제목처럼 되기란 쉽지 않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성장해서 가정을 꾸리게 되면 나보다는 가족을 먼저 생각하게 되고, 그래선지 내 자신보다는 타인에게 먼저 맞춰가며 살아가지 않나 생각한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언제부턴지 모르게 자신을 잊어가는 것은 아닐까?

 

 이 책은 이런 우리들에게 잊어가는 자신을 돌아보게 해준다. 그리고 자신에게 수 없이 많은 질문을 하게해 자신의 뒤를 돌아보는 시간을 준다. 과연 지금까지 나는 누구를 위해 산 것인지에 대한 삶의 가치에 관한 답을 천천히 생각해보게 해주는 그런 책으로 자신의 자아실현을 할 수 있게 해준다.

 

 내 자신을 한 문장으로 표현해보라면 쉽게 대답할 수 있을까? 나는 대답을 못할 것 같다. 과연 나를 뭐라고 해야할지 떠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마도 이 책을 읽는 독자라면 나와 마찬가지로 생각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설명할 때 종종 소유물로 자신을 대변하곤 한다. 가령, '나, 이런 데서 사는 사람이야!' 혹은 '나, 이런 차 타는 사람이라고!' 아니면 '나, 이 정도 버는 사람이거든?' 등 말이다. 이런 말이 나를 말해준다 할 수 있을까?

 

 우리는 내가 어떤 성격과 성향을 갖고 있는지, 무엇을 할 때 행복해하는지, 왜 행복해하는지, 어떤 취미나 습관들을 갖고 있는지, 약점들은 또 무엇인지, 그것을 왜 약점으로 생각하는지, 어릴 때 불편하고 어색해하는지, 무엇을 원하는지, 그것을 왜 원하는지 등에 관해 생각해 봤을까? 아마도 이런 생각보다는 집을 언제 살지, 차는 어떤 기종을 탈지 등 남들이 부러워 할 만한 것만을 생각하며 살았을 것이다. 하지만 내가 나 자신에 대한 기준과 철학을 갖고 있어야 하며, 내가 나 자신을 제대로,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책에 "나는 그동안 살아오면서 잘난 사람이 되고 싶었을까, 아니면 잘나 보이는 사람이 되고 싶었을까. 나는 그동안 잘난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해왔을까, 아니면 남들에게 잘난 사람처럼 비쳐지기 위해 노력해왔을까."라는 질문이 나온다. 내 경우 나이가 늘어가면서 나 보단 남을 기준으로 산 것 같다. 하지만 이제라도 이 책 덕분에 나를 위해 살아야 겠다는 다짐을 해본다.

 

 "여러분은 자신의 꿈을 한 번이라도 제대로 들여다본 적이 있나요. 한 번이라도 그 꿈을, 자신의 가슴에서 끄집어내본 적이 있는지요. 우리가 진정 꿈을 꿀 수 있는 자유를 만끽해본 적이 있었나요"라는 질문을 하기도 한다. 이 질문에 나는 언제까지 꿈을 품었었나 기억도 나지 않는 내 자신을 보면서 왠지 서글퍼 지기도 했다.

 

 무의식의 화가라 불리는 살바포르 달리는 "나는 세 살 때 요리사가 되고 싶었고, 다섯 살 땐 나폴레옹이 되고 싶었다. 이런 나의 야망이 점점 더 커져 지금 내가 갖고 있는 꿈은 살바도르 달리가 되는 것이다."라는 말을 했었다. 성공한 화가가 아닌 자신이 되는 것이 꿈이라는 말이다. 이것은 지극히 자신을 사랑하지 않고서는 불가능 할 것이다. 누구나 자기 자신을 먼저 사랑해야 다른 사람도 사랑할 수 있다고 한다.

 

 우리들에겐 너무나 유명한 잡스는 애플을 창업한 후 30년 넘게 일을 해 왔다. 이렇게 오랜 기간 이 일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그가 자신의 일을 사랑했기 때문이다. 과연 우리들은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이처럼 이 책은 자신을 돌아보는 데 있어서 그리고 자아실현을 하는데 유용한 책이다. 그리고 현재 자신의 삶이 어떤지 생각해보게 해줘 삶의 가치를 높여주기도 한다. 그동안 잊고 지낸 꿈을 다시 상기하며 자신의 자아 실현을 다시 한번 달성하고 그 꿈을 이루며 삶의 가치를 높일 수 있게 해주는 그런 책이다.

 

 

 

 

 

[저자소개]

 

허병민 [저]

 경영컨설턴트이자 리더십ㆍ라이프 코치. 연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한 후 제일기획 제작본부 PD로 입사하였고 이후 두산동아, 오티스엘리베이터(Otis Elevator), LG생활건강 등에서 경력을 쌓았다. 다방면에 관심이 많은 그는 발라드 그룹 ‘피아노’의 보컬 겸 작사가로서 가수 활동을 했으며 무등일보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에 당선, 문학ㆍ문화평론가로도 활동한 바 있다. 현재 콘텐츠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개개인에게 잠재된 다양한 재능을 발견하고 끌어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Talent Lab의 대표 겸 최고재능책임자(Chief Talent Officer)로 있는 그는 삼성전자, 삼성생명, 현대자동차, 현대카드, SK네트웍스, SK건설, LG이노텍, CJ GLS, 동양그룹, LIG자동차손해사정, 미래에셋증권, 국민건강보험공단,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인천경영자총협회, 홍익대학교 경영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등 대기업 및 공기업, 대학(원)을 통틀어 연 200여 회의 강연과 집필 활동을 해오고 있다. 이 외에 기업의 인사조직 컨설팅을 포함, 직장인과 리더들을 상대로 리더십 및 라이프 코칭을, 10~20대를 상대로 진로 및 커리어 코칭을 하고 있다. 변화와 혁신을 즐기는 그는 다양한 회사들과의 협업(파트너십) 또한 수시로 진행해 조직의 브랜드 및 창의적 기업문화를 구축하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자문역) 및 기획위원을 맡아왔다.

그동안 SBS, EBS, MBN 등에 출연했고 <동아일보>, <주간조선>, <시사저널>, <주간동아>, <이코노믹리뷰>, <월간 CEO&>, <월간HRD> 등 다양한 잡지들과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최근까지 <월간HRD>와 <한국경제신문> 한경닷컴에 ‘닥터쿡, 직장을 요리하다’ 연재를 진행해왔다. 저서로는 《넥스트 컴퍼니-꿈 경영자의 시대가 온다》와 각각 중국에 수출된 《20대, 네가 진짜 원하는 게 뭐야》 및 《1년만 버텨라》가 있으며, 이 외에 자기계발CD <당신은 싸움을 위한 근육을 갖고 있는가>를 발매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