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0만 번 산 고양이 ㅣ 비룡소의 그림동화 83
사노 요코 글 그림, 김난주 옮김 / 비룡소 / 2002년 10월
평점 :

이 책은 제목에서 어느 정도 짐작이 갈 것이다. 제목처럼 고양이가 백만 번을 죽고, 백만 번을 살아난다. 그러면서 고양이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 그때 그때의 삶을 살게 된다. 하지만 고양이는 같이 있는 사람들을 싫어하게 된다. 그러나 사람들은 고양이를 무척 사랑한다. 그래서 고양이가 죽게 되면 모두 무척 슬퍼하며 운다. 하지만 고양이는 단 한 번도 울지 않았다.
한때 고양이는 임금님의 고양이였다. 하지만 전쟁터에서 날아온 화살에 맞아 죽게 되자 임금님은 고양이를 안고 매우 슬프게 울었고, 고양이는 성의 정원에 묻힌다.
다음에 고양이는 뱃사공의 고양이였다. 하지만 배에서 떨어져 바다에 빠져 죽게 되자 뱃사공은 고양이를 안고 소리 내어 울었다. 그리고 항구 마을의 공원 나무 아래에 고양이를 묻었다.
다음에 고양이는 마술사의 고양이였다. 하지만 마술사의 실수로 고양이가 반으로 잘려 죽게 되고 마술사는 고양이를 안고 소리 내어 울었다. 그리고 서커스단의 천막 뒤쪽에 고양이를 묻었다.
다음에 고양이는 도둑의 고양이였다. 하지만 고양이는 개에게 물려 죽게되고, 도둑은 고양이를 안고 소리 내어 울었다. 그리고 잡의 좁다란 뜰에 고양이를 묻었다.
다음으로 고양이는 홀로 사는 할머니의 고양이였다. 하지만 고양이는 나이가 글어 죽게 되고, 할머니는 정원 나무 아래에 고양이를 묻었다.
다음으로 고양이는 어린 여자 아이의 고양이였다. 하지만 여자 아이의 등에서 포대기 끈에 목이 졸려 죽게되고, 고양이를 뜬 나무 아래에다 묻었다.
드디어 고양이는 그 누구의 고양이도 아닌 자신의 고양이로 태어났다. 그리고 멋진 얼룩 무늬로 암고양이들에게 인기가 많다. 하지만 새하얀 예쁜 고양이는 얼룩 무늬 고양이에게 관심이 없다. 그러나 저극적인 노력으로 결국 둘은 결혼하게 되었고 아이들도 태어나게 된다. 그러면서 얼룩 무늬 고양이는 자신의 아내와 아이들과 오래도록 함께 있고 싶다고 처음으로 생각한다.
결국 자신에게 소중한 것이 생긴 얼룩무늬 고양이는 처음으로 죽고 싶지 않아 진다. 우리들도 옆의 사랑하는 사람 때문에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 된다.
이 책 마지막에 행복하게 살다 아내가 먼저 가게 되자 얼룩 무의 고양이도 얼마 안 있다 아내 곁으로 가게 된다. 하지만 더이상 다시 살아나지 않게 된다는 말이 너무 감동적이었다.
~~~~~~~~~~~~~~~~~~~~~~~~~~~~~~~~~~~~~~~~~~~~~
[저자소개]
사노 요코(Yoko Sano) [저]
- 1938년 베이징에서 태어났다. 일본 무사시노 미술대학 디자인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 조형대학에서 석판화를 공부했다. 독특한 발상으로 깊은 심리 묘사를 한 작품이 특징이다. 아이가 그린 그림 같은 천진난만한 그림과 리듬감 있는 글이 잘 어우러지는 그림 동화를 많이 쓰고 그렸다. 주요 작품으로 내 친구 모모, 백만 번 산 고양이, 아저씨 우산, 하늘을 나는 사자 등이 있다.아저씨 우산으로 산케이 아동출판문학상 추천을 받고,내 모자로 고단샤 출판문화상 그림책 부문을 수상했다.
김난주 [역]
- 1958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우리 문학을 공부하고 일본에서 일본 근대문학을 연구했다. 경희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을 수료한 후, 1987년 쇼와 여자대학에서 일본 근대문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고, 이후 오오쓰마 여자대학과 도쿄 대학에서 일본 근대문학을 연구했다. 현재 우리 문학과 일본 문학을 두루 공부하고 일본 문학을 우리글로 옮기는 일을 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요시모토 바나나의 [키친], [하치의 마지막 연인], [허니문], [암리타], [하드보일드 하드 럭], [타일], [티티새], [몸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하얀 강 밤배], [슬픈 예감], [아르헨티나 할머니], [왕국], [해피 해피 스마일] 등과 [겐지 이야기], [훔치다 도망치다 타다], [가족 스케치], [천국이 내려오다], [모래의 여자], [도토리 마을의 모자 가게], [도토리 마을의 빵집], [까만 크레파스], [까만 크레파스와 요술기차], [까만 크레파스와 괴물 소동], [누에콩의 기분 좋은 날], [우리 누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