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몸을 살리는 역설 건강법 - 금오 김홍경의
김홍경 지음 / 21세기북스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건강은 잃어버리고 난 후 고치려면 몇 배로 힘이 든다. 예방만이 최고다. 옛날 사람들은 이를 잘 알고 있었고, 질병이 발생하기 전 그 예방에 힘썼다. 질병의 뿌리가 자라날 틈을 주지 않았다. 자연과 더불어 살았다. 가공되지 않은 음식, 생활, 환경 등을 통해 순수하고 천역적이며 조화로운 생활을 즐겼다. 자연의 흐름에 몸을 느긋하게 맡기니 욕심이 적었고, 여유가 많았다. 과로와 무리한 활동, 정신적 고민은 현대인에 비해 매우 적을 수밖에 없었다.

 

  음양오행은 단순한 신비주의적 미신일까? 아니다. 그것은 자연과 세계를 그대로 직관한 결과다. 균형을 구축하는 동양의학에서 가리키는 그 '균형'이 바로 음양이다. 균형이라는 관점이 없으면 증상을 전체적으로 파악하지 못한다. 음양의 조화를 이루는 것이 건강이다.

 

  음양관이 음식과 향기와 생활에 제대로 맞을 때 비로소 인간은 건강해진다. 음양관을 인간에게 제대로 접목하려면 자신의 체질이 무엇인지 세밀하게 알고 접목해야 한다. 사람은 각각 다른 체질을 갖고 있다. 체질에 맞게 음양을 조화시켜야 한다.

 

  서양의학에서는 심장이나 무릎처럼 우리 마음도 따로 떼어내 대한다. 하지만 동양의학에서는 몸과 마음을 분리하지 않으며, 몸과 마음은 하나다.

 

  밖으로 나타나는 열과 식은땀 역시 마음 때문에 생기기도 한다. 그러므로 육체의 증상뿐 아니라 원인이 되는 내상까지 함께 봐야 한다. 이것이 동양의학이 강조하는 유심적 치료법이다. 과학이라는 미명 아래 서양이 자르고 분해하고 갈아 끼우는 유물론적 치료를 해 왔다면 동양은 끊임없이 몸과 마음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유심적 치료를 소구해 왔다.

 

  역은 모든 현상은 머무르지 않고 변화한다는 것이다. 제행무상, 즉 우리가 몸을 담은 우주 만물은 항상 돌고 변하여 어느 한 모습으로 머무르지 않는다. 이런 탁월한 관찰법이 전제되어야 진리의 각성이 이뤄진다. 또한 동양의학의 정수를 맛볼 수 있다.

 

  동양의학 진단에서 말하는 8개 진단 패러다임인 '음양, 허실, 한열, 표리'라는 개념이 쉽지만은 않다. 어찌 보면 어려워 보일 수도 있다. 그래서 동양의학을 도술처럼 신비롭고 이해불가결한 미지의 영역으로 밀어 넣는 사람들이 많다.

 

  동양의학은 간명하다. 직관적이고 실천적이다. 동양의학은 결코 어렵고 힘든 것이 아니다. 똥과 오줌을 잘 누는 것만으로도 깨칠 수 있다. 돼지고기 찌개에 고춧가루를 넣는 이유를, 냉면에 겨자를 넣는 원리를 이해할 수 있는 지혜만 갖춰도 우리는 이미 빼어난 동양의학의 실천가들인 셈이다.

 

  음과 양, 허와 실의 균형을 맞추는 '중용' 그리고 '도'만 알면 된다. 뜨거운 것은 차가운 것보다 가볍다. 높은 곳의 것은 아래로 향한다. 어린 나무는 부드럽고, 다 자란 나무는 딱딱하다. '도'란 고작 이런 것이다.

 

  건강의 80퍼센트 이상은 자기 관리 책임이다. 절대다수를 차지하는 게 생활습관 탓이다. 현대인의 생체리듬은 밤 없는 도시에 의해 불규칙하게 변하고, 폭식과 과식의 식사습관은 성인병을 유발하고 있다.

 

  현대인을 괴롭히는 암, 심장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의 질병들은 대개가 잘못된 생활습관에서 비롯된다. 그러므로 조그만 생활습관을 개선한다면 쉽게 예방할수도 있고, 치유도 좀 더 빠르게 될 수 없다. 그리고 치유의 주체는 의사가 아니라 자기 자신이 돼야 한다.

 

 

[저자소개]

 

김홍경 [저]

- 1985년 102세의 나이로 입적한 수덕사 방장 혜암대선사의 문인으로 혜암대선사에게서 '금오(金烏)라는 이름을 받았다. 1973년 경희대학교 한의학과를 졸업했으며 현재는 혜암 노사(老師)가 '신농백초(神農百草)'라고 명명해준 한의원을 운영하며 EBS에서 <김홍경이 말하는 동양의학>이라는 프로를 맡아 방송활동을 겸하고 있다.
저서로는 [동양의학혁명], [동양의학혁명 각론], [동의에의 초대], [동의 한마당], [신고전 사랑방], [좋다! 싫다! 생각해보자!], [건강으로 가는 주역탐구], [한방불패], [금오 신화], [약성시가] 등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