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의 전화박스 아이북클럽 7
도다 가즈요 글, 다카스 가즈미 그림, 햇살과나무꾼 옮김 / 크레용하우스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보면 자식을 둔 부모의 마음은 모두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것이 비록 동물일지라도 말이다. 요즘은 동물보다도 못한 인간들이 얼마나 많은가? 자기 자식도 버리고, 늙으신 자신의 부모님도 버리는 세상이니 말이다. 이런 각박한 세상에 살아가야 하는 우리 아이들에게는 이런 동화들이 많이 나와 자라는 아이들에게 따뜻한 마음과 정을 심어 준다면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은 지금보단 많이 따뜻하고 살기 좋은 세상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한적한 어느 산기슭에 아주아주 오래된 전화박스 하나가 있고, 이 산속에는 엄마 여우랑 아기 여우가 살고 있었다. 아빠 여우는 아기 여우가 태어나자마자 병들어 죽고 말았다. 아빠 여우가 없어도 아기 여우는 엄마 여우 옆에서 무럭무럭 자랐다.

 

  우리들이 아이들을 키우다보면 아기가 걸음마를 시작할 때 한 걸음 걷고 주저 앉고 해도 부모들은 잘 했다며 칭찬해주고 좋아해 준다. 엄마 여우도 아기 여우가 높이 뛰어오르는 것을 보며 기뻐한다. 엄마 여우가 기뻐하는 모습을 보면서 아기 여우는 자신이 요술이라도 부리면 엄마 여우는 더 기뻐하겠다고 얘기한다. 엄마 여우는 당연히 기뻐할거라고 말하고는 아기 여우에게 여우는 요술을 부릴 수 없다고 말해준다.

 

  그러던 어느 날 아기 여우가 시름시름 앓다가 그만 죽고 만다. 사람도 자식을 먼저 보낸 부모들 마음은 말로 할 수 없듯이, 엄마 여우도 아기 여우의 죽음에 세상을 살고 싶은 마음도 없다. 그래서 엄마 여우는 매일 구슬피 울기만 한다.

 

  하염 없이 걷던 엄마 여우는 산기슭의 공중전화를 발견하게 되고, 그곳에서 흘러나오는 불빛에 왠지 마음이 훈훈해지는 것을 느낀다. 그런데 공중전화 박스 안에 어린아이가 있고 이 아이가 수화기에 대고 "엄마!"라고 부르는데 꼭 엄마 여우를 부르는 것처럼 들린다. 통화가 끝난 아이가 밖으로 나왔는데, 사내아이의 뒷모습에서 꼬리가 살랑살랑 흔들린 것처럼 보였다.

 

  그래선지 엄마 여우는 다시 한번 아이를 보고 싶었다. 그리고 다시 아이를 보게 되지만 꼬리는 보이지 않는다. 그래도 그 아이를 통해 자신의 아기 여우를 만나는 것 같아 엄마 여우는 아이가 올 시간이면 공중전화 박스로 가있게 된다.

 

  아이가 올 시간이 다가오는데, 공중전화가 고장이 났다. 엄마 여우는 아이가 실망할까봐 자신이 공중전화 박스라도 되고 싶다고 빈다. 그런데 진짜 공중전화 박스가 되고, 아이는 갑자기 두개가 된 전화 박스를 보면 의아해 하지만 곧, 한 쪽이 고장난 것을 알고는 엄마 여우가 만든 전화 박스에 들어가 엄마에게 전화를 건다.

 

  전화 내용을 들은 엄마 여우는 이제 다시는 아이가 전화하러 오지 않을 것을 알게 된다. 그래서 슬픈 마음에 고장난 전화 박스를 쳐다보는데 갑자기 불이 켜진다. 그래서 엄마 여우는 전화 박스안에 들어가는데, 참 포근하고 따뜻하다고 느낀다. 이것은 전화 박스가 마지막 힘을 내어 엄마 여우를 위로하는 것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