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솔산 선운사
한태희 그림, 이상희 글, 초방 기획 / 한림출판사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옛날 전라도 땅 도솔산 아랫 마을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 책이다. 당시 소금은 금처럼 귀한 것에 속했다. 이런 소금을 어떻게 만드는지를 한 스님을 통해 마을 사람들은 배우게 된다.

 

  이 마을 사람들이 스님을 만나기 전에는 뒷산에선 약초를 캐고, 앞 바다에선 물고기를 잡으며 살고 있었다. 그리고 기름진 들에서는 가을마다 넉넉히 곡식을 거두었다.

 

  이 마을을 한 스님이 바라보면서, "기름진 들에다 산과 바다까지 있으니, 넉넉한 마을이로군." 하며 말하곤 마을로 들어간다. 그리곤 집집마다 공양을 다녔지만 집집마다 먹을 것이 없어 공양을 하지 못한다. 그러다 겨우 감자 한 알을 얻게되면서 마을 사정 이야기를 듣게 된다. 산과 들과 바다에서 땀 흘려 거둔 양식을 해적들이 쳐들어와 모조리 빼앗아 간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 것이다.

 

  이야기를 들은 스님은 봄볕이 쨍쨍 내리쬐는 어느 날, 굶주린 마을 사람들을 바닷가로 불러모았다. 그리곤 개펄 진흙으로 둑을 쌓아 바닷물을 가둔 다음, 가마솥에 바닷물을 퍼넣고 장작불로 펄펄 끓였다. 가마솥 바닥에 소금이 하얗게 쌓이자, 스님은 소금을 구워 팔면 굶주릴 일이 없을 거라 말해준다.

 

  시간이 흘러 하늘이 드높은 가을이 되었다. 마을의 곳간마다 여름내 땀흘려 거둔 곡식이며 과일과 소금이 가득 차 있었다. 이 때를 노린 해적들이 쳐들어 오게 되고, 마을 사람들은 모두 동굴로 숨는다. 해적들은 스님이 계신 암자까지 쳐들어 와서 곡식을 내노라며 칼을 칼을 휘두르자 스님이 벽에 걸린 호랑이 그림을 지팡이로 툭 치는 순간 호랑이가 튀어나와 해적들을 모두 제압해 버린다.

 

  스님은 해적들에게 왜 열심히 살지 않고 도적질을 하느냐고 물으니 해적들은 도적질 밖에 배우질 못했다고 하며 가르쳐 주신다면 열심히 살겠다고 말한다.

 

  이렇게 하여 마을 사람들과 해적들은 같이 열심히 일하게 되고, 나무도 베어서 절도 열심히 공사한다. 드디어 절은 완공되었다. 그런데 스님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스님이 안 계시자 마을 사람들은 호랑이 그림 옆에 스님의 모습도 걸어두고 오래도록 그리워하며 산다. 아마도 스님은 다른 마을을 도와주러 떠나신게 아닌가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