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 - 저학년 위인전 9
이영호 글,하원언 그림 / 예림당 / 1990년 5월
평점 :
품절


  우리들이 알고 있는 세종대왕의 제일 큰 업적이라면 역시 한글 창제에 있을 것이다. 어린 시절 위인전을 읽으면서 나도 꼭 훌륭한 사람이 되야 겠다는 다짐을 했던 기억이 난다.

  세종대왕은 태종의 세째 아들인 도(충녕 대군)으로 태어났다. 세종은 어린시절부터 책을 무척 좋아하고 많이 읽었다. 보통 한 권을 100권씩 볼 정도로 책을 좋아했다.

  세종의 큰형 양녕이 왕세자로 있었으나, 글 공부엔 관심없고 사냥과 술 마시는걸 좋아했다. 어느 날 아버지 태종이 세종을 왕세자에 앉혀야 겠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양녕은 오랜 생각 끝에 세종에게 왕세자 자리를 물려주기 위해 미친척 했다. 또한 둘째 효녕 대군은 절로 들어가 중이 되었다.

  1418년 8월 10일에 충년 대군은 스물 두 살의 나이로 왕의 자리에 올랐다. 왕이 된 세종은 집현전을 크게 늘려 학문 연구에 힘썼다. 

  세종은 한글로 노래 책을 직접 지어 내기도 하였는데, 그것이 [월인천강지곡] 이다. 또한 '조선통보'라는 엽전을 만들어 백성들이 편히 쓰게 했다. 

  세종대왕의 가장 위대한 업적인 한글 창제다. 한글은 세종이 많은 백성들이 글을 읽을 수 있게 하기위해 만들게 된다. 

  1443년 12월, 마침내 닿소리 17자와 홀소리 11자를 만들었다. 이 정음 28자가 완성되자 세종은 이를 '훈민 정음' 이라고 하였다. 이 '훈민 정음'은 1446년 9월에 백성들 앞에 반포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