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사소한 것에 목숨을 건다
리처드 칼슨 지음, 정영문 옮김 / 창작시대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가능하면 대화가 시작되기 전에, 스스로에게 인내력을 갖고 기다리라고 타일러라. 자신의 차례가 될 때까지 상대가 얘기를 끝마치는 것을 기다리겠다고 스스로에게 되뇌어라. 그러면 이 간단한 행동만으로도 만나는 사람들과의 상호 작용이 크게 향상된다.

  사람들은 모두 자신의 얘기를 진지하게 경청해 주는 사람과 얘기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러니 자신과 상대방에게 이익이 되는 원활한 의사 소통을 원한다면, 우선 먼저 그 사람이 왜 그런 행동을 했는지 이해해야 한다. 사람들이 무엇을 말하려 하는지, 그들에게 무엇이 중요한지 등을 진정으로 이해할 때, 그들 역시 자연스럽게 우리를 이해하게 된다.

  남을 탓하는 습관은 분노, 좌절, 의기 소침, 스트레스뿐 아니라, 불행한 삶까지 남의 책임으로 돌리게 만든다. 그러나 남을 원망하고 그의 잘못을 탓하기만 하는 사람은 결코 평화로운 삶에 가까워 질 수 없다.

  어떤 상황에서든 타인을 탓하지 않고 끝까지 책임을 지려고 노력한다는 것은, 단순히 일의 책임을 남에게 돌리지 않는다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자신의 행복과 타인, 주변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의미이다.

  많은 사람들이 말다툼과 오해, 화가 치미는 상황이나 그 밖의 여러 가지 고통스런 경험들로 생긴 분노를 가슴속에 품고 살아간다. 억누를 수 없는 분노에 마음이 지배당하게 되면, 우리는 '사소한 일' 도 대단히 '거창한 일' 로 만들어 버린다. 그리고 자신의 체면이 행복보다 더 중요하다고 믿기 시작한다. 하지만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

  만약 마음의 평화를 원한다면, 자신이 '옳다' 고 고집하는 것이 결코 행복보다 더 중요할 수는 없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분노를 가라앉히고 화해의 손길을 내밀어야 한다.

  인생이 진정 평화롭고 따뜻한 호의로 가득 차기를 바란다면, 누구에게든 친절을 베풀고 어디서든 의로운 일을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런 행동은 남을 돕는다는 것이 얼마나 기분 좋은 일인지 몸으로 느끼게 해준다.

  사람들이 친절을 베푸는 가장 큰 이유는 그것이 커다란 정신적 만족감을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친절한 행동은 그것을 베푼 사람에게 '자기 만족' 이라는 긍정적인 느낌으로 보상해 주며, 봉사와 친절, 사랑이라는 대단히 소중한 인생의 측면을 상기시켜 준다.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사람들은 누구나 타인에게 자신이 한 일에 대한 대가를 바라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태도는 자신이 베푼 일들에 대해 계속 성적을 매기는 것과 다름없다. 

  아무 대가를 바라지 않고 그저 그 자체가 좋아서 누군가를 위해 좋은 일을 하는 사람은, 편안함과 평화라는 멋진 느낌을 그 보상으로서 얻게 된다.

  자신이 얼마나 더 오래 살 수 있을지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하지만 서글프게도, 사람들음 마치 영원히 살 것처럼 행동한다. 그러나 인생은 중요하기도 하지만, 너무나도 짧다. 그렇기 때문에 모든 문제들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서는 안된다. 즉 사소한 것에 목숨 걸지 말자는 얘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