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여우와 털장갑
니이미 난키치 지음, 손경란 옮김, 구로이켄 그림 / 한림출판사 / 199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그림이 굉장히 따뜻한 느낌이다. 배경은 추운 겨울 굉장히 많은 눈이 내린 배경인데도 불구하고 두 마리의 어미 여우와 새끼 여우가 그렇게 따뜻하게 보일 수 없다.

  비록 여우에 관한 이야기지만, 읽는 내내 자식에 대한 생각이 들었다. 여우의 모성애, 그리고 아직은 경험이 없어 두려움이 없는 새끼 여우, 하지만 경험이 있는 엄마 여우는 걱정이 앞선다.

  추운 겨울 눈을 처음 맞아본 새끼 여우는 엄마 여우에게 눈에 뭐가 들어갔다며 빼달라고 한다. 하지만 엄마 여우가 봤을때 아무것도 없다. 밖을 나간 엄마 여우는 새끼 여우가 눈을 처음 봐서 그런다고 생각한다.

  눈 속을 걸어다닌 새끼 여우의 손이 차가운 것을 보고 엄마 여우는 새끼 여우에게 따뜻한 장갑을 하나 사줘야 겠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마을 근처까지 가는데, 새끼 여우는 마을에서 새어나오는 빛을 보고 별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엄마 여우는 예전에 친구 여우가 마을에 내려갔다가 사람들에게 잡혔던 것을 떠올리고 있다.

  이런 사실을 전혀 모르는 새끼 여우는 엄마 여우에게 빨리 불빛이 있는 곳에 가보자고 한다. 그러자 엄마 여우는 새끼 여우의 손을 꼭 잡아 주는데, 새끼 여우의 손이 사람 손처럼 변하게 된다. 

  엄마 여우는 새끼 여우에게 마을에 가서 커다랗고 둥근 모자가 그려진 간판을 찾아 문을 두드리고, 문이 열리면 그 틈으로 사람 손을 내밀고 돈을 준 뒤 장갑을 달라고 하라고 말한다. 그러나 새끼 여우는 갑자기 새어나오는 불빛에 당황하여 사람 손이 아닌 여우 손을 내밀고 만다. 

  주인 할아버지는 돈을 먼저 달라고 말하는데, 새끼 여우가 돈을 준다. 그러자 할아버지는 장갑을 새끼 여우에게 준다. 엄마 이야기와는 다른 사람의 행동에 새끼 여우는 사람의 생김새가 궁금해진다. 그래서 한 집의 창문밑으로 가게 되는데, 그곳에선 엄마가 아기에게 자장가를 불러주고 있다. 

  이 자장가를 들은 새끼 여우는 갑자기 엄마가 보고 싶어져 한 달음에 엄마에게 달려간다. 

  우리들이 아이들을 키우면서 미리 걱정하며 아이의 행동을 제한하는 것이 많다. 하지만 아이들은 그것이 위험한지 안 위험한지는 경험이 없기 때문에 잘 모른다. 그러나 이 책의 내용처럼 어른의 경험이 모두 맞는 것은 아니다. 무조건 위험하다고 못하게 막기 보단 아이가 어느 정도의 경험을 통해 스스로 알게 하는 것도 부모의 역할이란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