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파는 남자 - KI신서 916
페르난도 트리아스 데 베스 지음, 권상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우선 제목부터가 눈길을 끈다.
시간을 판다라....
누구에게나 공짜로 주어지는 시간, 이것을 파는 남자가 있다.
지금까진 그 누구도 생각지 못한 발상으로 특허를 내고 회사를 세운다.

하지만, 처음 이 남자가 "시간을 팝니다. 사가세요!" 했을 때 모두들 미쳤다고 생각한다.
시간을 팔기까지 이 남자는 심사숙고하고, 무척 고심해서 결정한 것이다.

상품을 팔려면, 사려는 사람들이 있어야하고, 그 상품이 그 사람들에게 필요해야만 팔리는 것이다.

처음 책을 피고 읽는데, 이 남자가 자기네 아파트 주차장 한칸을 천막치고 시간을 용기에 담는 내용이 나온다.
괘종 시계를 구입해서 타임을 맞추고 자기가 개발해서 특허를 낸 용기에 담는다는 내용인데, 보면서 생각하기를 ’이 책 뭐야! 도대체 이렇게 시간을 용기에 담는다고 누가 사겠어?’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소설은 소설...불가능이 없다.

이 남자가 처음 5분이란 시간을 용기에 담아 판매하지만 사람들에게 별 인기가 없는 것을 보고 왜 그럴까하고 생각한다.
생각 끝에 인지도, 즉 사람들이 모르기 때문이란 결론을 내리고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렇게 알려진 상품은 불티나게 팔리게 되고 사람들은 5분이란 시간보단 더 많은 시간들을 요구하게 되고 점점 많은 시간을 용기에 담아 팔게 되면서 이 회사는 승승장구한다.
하지만, 이 회사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이 책은 마케팅을 쉽게 독자들에게 알려주면서 시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소비자들은 필요로하면 구입하며, 그 상품을 찾는다. 이렇듯 누구나 시간을 사서 쓰지만, 결국 사회는 무너져만 간다. 이런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개인과 사회 모두가 달라지는 것이다.
누구나 무료로 사용하고 있는 시간이지만, 우리는 무료라고 생각하는 시간을 허비하는 만큼, 사실은 우리의 생의 끝은 그만큼 빨라진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