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민석의 무도 한국사 특강 휴먼 특강 2
설민석 지음 / 휴먼큐브 / 201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많은 사람이 단군을 성이 단씨인 사람의 이름으로 알고 있지만, 단군은 사람의 이름이 아니라 직책이다. 오늘날로 따지면 대통령, 조선시대로 따지면 왕을 뜻하는 명칭이다.

 

 단군을 흔히 단군왕검이라고 부르는데, 단군왕검이라는 단어를 나눠보면 단군에는 제사장, 무당이라는 뜻이 있고, 왕검은 정치적 지도자, 무리의 우두머리라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단군왕검이라고 하면 정치와 종교를 아우르는 지도자를 가리키는 말이 되는 것이다.

 

 

 선덕여왕은 신라의 제27대 왕이며, 선덕여왕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찾아보면 선정을 베풀어 민생을 향상했고, 구휼 사업에 힘썼으며, 첨성대와 황룡사 구층탑을 건립하는 등의 업적을 남겼다고 전한다. 이런 평가들을 보면 선덕여왕이 백성을 아끼는 마음이 크고, 인품과 학식을 고루 갖춘 인물이었음을 짐작해볼 수 있다.

 

 

 의자왕 하면 많은 사람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이 삼천궁녀이다. 의자왕이 술과 유흥에 빠져 국사를 돌보지 않아 나라를 멸망시켰다며, 그 상징적 존재로 낙화암에서 투신한 삼천궁녀를 거론하곤 한다. 그러나 의자왕이 삼천궁녀를 거느렸던 호색한이었던 것은 기록에도 존재하지 않는 역사의 오류이다.

 

 

 왕건은 원래 후고구려의 장군으로 궁예 아래에 있었다. 그러다가 전쟁에서 승승장구하며 신망을 얻었고, 궁예의 폭정이 계속되자 나중에는 궁예를 몰아내고 자신이 왕이 된다. 이후 후고구려의 국호를 고려로 바꾸고, 신라와 후백제를 통합하여 후삼국을 통일한다.

 

상세 이미지 1

 

 우리는 흔히 안중근 선생을 도마 안중근 의사라고 부른다. 안중근 선생의 '도마'라는 호는 '토마스'라는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안중근 선생은 천주교 신자였고, 세례명이 토마스였다. 어머니의 존함은 조마리아였는데, 이것만 봐도 안중근 선생의 가문이 천주교 집안이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안중근 선생의 삶을 되짚어보면 천주교 신자로서 행한 인도주의적인 행적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설민석의 무도 한국사 특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