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더의 자존감 공부 - 자존감 높은 리더의 따르게 하는 힘!
김대식 지음 / 해의시간 / 2019년 4월
평점 :

평소 사람들은 자기만을 위하는 이기적인 모습을 자주 보이고,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여
행동한다. 또한 익숙한 방식에 심리적 안정을 느끼기에 과거 방식에 머물고자 한다. 이러한 상태를 '일반적 상태'라고 한다. 이 상태는 아직
리더로서의 존재 양식을 갖추지 못한 상태로 상대적으로 낮은 자존감을 보이는 단계이다.
하지만 일반적 상태에 머물지 않고 공동의 이익을 위한 보편적 가치와 목적에 따라 행동하는
모습을 더 자주 보이는 리더가 있다. 이렇게 이기적 목적이 아닌 보편적 목적을 따르는 리더를 가리켜 '근원적 상태'에 있다고 말한다. 근원적
상태의 리더는 대체로 자존감이 높지만, 만약 자기를 사랑하는 정도가 지나쳐 자기애만 높은 이기적인 리더라면 진정한 의미의 자존감 높은 리더라고
볼 수 없다.
진정한 의미의 '자존감 높은 리더'는 이기적인 자기애 상태를 넘어 보편적 가치로 타인을
존중하며 서로의 자존감을 지켜주는 리더다. 일반적으로 자존감이 높은 리더는 자기를 솔직하게 직면하는 인고의 시간을 가지며 그것을 성장의 기회로
삼는다. 전인적으로 완벽할 수는 없어도 그와 같은 노력을 더 자주 보이는 사람이다.

리더의 고민을 살펴보면 일 자체보다 사람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토하는 내용이 많다. 사람의
마음을 읽고 소통하는 일은 많은 에너지가 투입되면서도 기대만큼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내 뜻대로 할 수없는 사람에게서 받는 실망, 원망, 배신, 불신, 분노, 억울함 또한
리더에게는 결코 쉽지 않은 고통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리더는 의미부쳐와 주도적 행동으로 에너지를 얻으며 성장한다. 또한, 리더는 자신의 실수와
부족을 인정할 수 있어야 한다. 자기 반성과 인정 없이 굳건한 리더는 없다.
일반적인 리더십은 타인에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지만, 내가 나를 통제하며 스스로의 삶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리더십을 '셀프리더십'이라고 한다. 셀프 리더로서 자기 삶에 통제권을 행사하는 방법은 운 70%보다 낮은 비중일지라도 스스로가
할 수 있는 것을 찾아 나서거나 실행하는 것이다. 운이 70%이거나 90%인 것의 비율은 그다지 중요한 것이 아니다. 내가 내 삶의 주인이
되려면, 적은 비중일지라도 변화 가능한 것에 주의를 기울여 영향력을 높여 가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자신의 가치, 능력, 통제에 관한 주관적 평가를 자존감이라 한다. 자존감은 타고난 기질과
성격을 바꾼다고 생기는 것이 아니다. 원래 타고나서 나다운 참이 무엇인지 분명히 아는 것에서 시작하여 고유의 가치를 인정하고 사랑하는 것으로
나아가야 한다. 그리고 자존감은 스스로를 어떻게 여기는가에 대한 주관적인 생각이나 믿음 그리고 감정을 말한다.
변함없는 것. 나의 정체성이 되는 것까지 바꾸려는 시도는 결국 자신을 부정하며 인정하지 않는
것이 되어 나를 힘들게만 할 뿐이다. 인생에서 중요한 것은 변함없이 있어 주는 그 무엇이다. 그러므로 나다운 것을 분명히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나를 지키는 힘이 된다.

리더가 갖추어야 할 역량 중에 '자기 관리 역량'은 모든 역량의 기초다. 리더의 자기 관리는
나를 사랑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며, 특히 '몸'관리를 통해 일할 수 있는 에너지를 만들어야 한다.
나를 사랑하고 돌보는 일의 시작은 내 몸이 피로에 찌들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다. 몸이
고단한 상태에서 좋은 의사결정은 나올 수 없고, 좋은 성과도 낼 수 없다. 사람 관리, 업무 관리, 변화 관리 등 모든 역량은 리더의 체력을
통해 역력히 발휘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