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인만의 컴퓨터 강의 - 양자 컴퓨터를 고안한 천재가 들려주는 계산 이야기 |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가 남긴 마지막 강의, 2판
리처드 파인만 지음, 토니 헤이 엮음, 서환수 옮김 / 한빛미디어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CS의 발전이 급성장하면서 한 줄의 문장만으로도 질문을 해도 척척 박사처럼 답을 해 냅니다. ​ 하지만 그 답이 진실에 가까운지 아니면 AI가 만들어낸 환상일지 다시금 생각하게 만드는데요. ​ 이번 포스팅은 물리학의 대가인 리처드 파인만의 관점으로 컴퓨터 과학을 바라보려고 합니다.




1) 지식을 즐기는 사람

오늘날의 양자컴퓨터는 리처드 파인만의 양자전기역학의 발전을 통해 만들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요. 이를 핵심적인 기여를 한 공로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파인만은 컴퓨터를 단순히 숫자 계산을 하는 기계로 보기 보다는 물리적 한계에 이르기까기 질문을 던집니다. ​ 그리고 그는 1980년대 초 칼텍에서 강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파인만의 컴퓨터 과학 책'이 만들어 집니다. 그는 컴퓨터 과학이 자연을 대상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엄밀하게는 과학이라고 부르기 조금 힘들다는 점에서 물리학과 차이를 보인다고 합니다.




2) 파인만의 인공지능

현재의 신경망은 컴퓨팅 파워 등을 통해서 말을 길게 하지 안해도 잘 나갑니다. 다만 1980년대 당시 파인만이 있던 시대에는 이러한 사고는 비류적이고 남들이 이해하기가 회의적이었죠. 당시 AI에가 칼텍에서 AI로가장 정통한 전문가였던 제럴드 서스만도 탐탁치 않게 생각했다고 알려집니다. ​ 그 이유는 서로의 견해차가 컸기 때문인데요. 파인만의 경우 신경망의 물리학적(수치적) 접근을 중시 했다면 서스만은 기호적 AI(심볼릭AI)을 옹호했습니다. ​ 즉 딥러닝의 성공으로 현재 파인만의 예측이 실현이 되었지만 다른 한편으로 볼땐 두가지가 융합의 시대로 볼 수 있어서 앞으로 인공지능의 발전은 어떻게 될지 귀추가 주목되는 상황입니다.


PS

파인만의 컴퓨터 강의 책은 컴퓨터 과학 이론부터 양자 컴퓨팅에 이르기까지 컴퓨팅의 본질을 깊이 있게 탐구한 고전으로 평가받습니다. 파인만 특유의 명확하고 실험적인 설명 방식이 인상적인데요. 계산, 정보이론, 가역 계산, 양자 컴퓨터 등 폭넓은 주제를 물리학적 시각으로 흥미롭게 풀어냅니다.


이 포스팅은 한빛미디어에서 책을 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