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뇌가 멈추기 전에 - 서울대학교병원 뇌신경학자의 뇌졸중을 피하고 건강하게 오래 사는 법
이승훈 지음 / 21세기북스 / 2025년 7월
평점 :

국내에서 사망률 높은 병의 순서는 암, 심장질환, 폐렴에 이어 4번째는 뇌졸중입니다. 친척 중에 뇌졸중을 겪은 분이 있습니다. 다른 병들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아서 안타까운 마음이 큽니다. 이런 병이 왜 생겼는지 궁금하던 차 서울대학교병원 뇌신경학자인 이승훈 교수님이 책을 쓰셨습니다. 바로 '뇌가 멈추기 전에'라는 책입니다.
이승훈 서울대 교수님이 이 책을 쓴 이유는 일반인 안내서들의 품질이 실망스러워서 쓰셨다고 하는데요. 뇌졸중 학계에서 만난 적도 없는 뇌졸중 전문가와 내용이 틀리거나 잘못된 지침을 주는 등 민망한 책이 많았다고 합니다. 그럼, 책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선천이 아닌 후천적 병, 뇌졸중
이승훈 서울대 교수는 뇌졸중이란 용어가 일본에서 유래한 한자 합성어로 일제강점기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이를 어원을 분석해 보면 뇌에 (졸) 갑자기 적중했다고 볼 수 있는데요. 한마디로 표현하면 뇌에 갑작스럽게 타격을 주는 병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럼, 왜 이 병은 발생하는 것일까요? 주로 뇌의 외상이 아닌 혈관의 문제로 주로 발생합니다. 즉 동맥경화로 혈관이 오랜 시간에 걸쳐 나빠지다가 갑자기 파열되거나 혈전이 생길때 증상이 유발됩니다. 하루아침에 생기는 병은 아니면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과 함께 합병증으로 찾아옵니다.

2) 뇌졸증 예방법
뇌가 멈추기 전에 책은 뇌졸중 0 ~2단계로 나눕니다. 0단계는 아무 증상이 없어도 안전하지 않는 단계인데요. 이에 해당하는 50세 이하의 일반인으로 고혈압(130/80mm), 당화혈색소(6.0% 이상), 고지혈증(160mg) 이상이 포함됩니다. 1~2단계는 흡연하는 분이며 앞선 수치보다 높거나 질병을 가지면 포함이됩니다. 이에 해당하는 분은 책을 자세히 읽기를 권해드립니다.
뇌졸중은 갑자기 발생하는 병으로 과거부터 있던 두통이나 어지럼증 등은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고로 이전에 없던 뇌졸중 초기 증상으로 갑자기 사물이 2개로 보이거나 언어장애, 발음장애, 한쪽 팔다리가 마비될 때에는 병원을 가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이 포스팅은 21세기북스에서 책을 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