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실력, 장자 - 내면의 두께를 갖춘 자유로운 생산자
최진석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내에서 동양 철학가로 인지도 높은 분은 공자, 맹자, 노자 그리고 장자가 있습니다. 이러한 인물들은 우열을 가리기는 어렵습니다. 고민하던 중 작년에 읽은 허송세월이 떠올랐습니다. 김훈 작가님이 장자의 관련된 책을 흥미롭게 읽은 대목이 있어서 관련된 책을 찾다가 마땅히 읽을 책이 없었습니다. ​ 그런데 말입니다. 


동양철학의 대가인 최진석 동국대 명예교수님께서 <삶의 실력, 장자> 책을 출간하셨습니다. 이 소식을 듣고 안 읽어 볼 수 없는 이유가 생기게 된 것이죠. 장자의 철학의 매력은 시간적 관념이 다뤄집니다. 이러한 점은 기라는 범주에 속합니다. 기는 노자와 공자의 책에도 나오긴 하지만 핵심적으로 다루진 않기 때문에 더 흥미롭게 봤습니다. 그럼 책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장자 소요유

소요유는 눈을 똑바로 뜨고 목적지를 향해서 곧장 걷는게 아니라, 어디로 가는지 모르게 왔다 갔다 하면서 아무 목적지도 없는 것 처럼 노는 것이 핵심이라고 최진석 교수님이 <삶의 실력, 장자 책>을 통해 알려줍니다. 즉 사람이 시간이 빨리 갈 때 느끼는 점은 무엇이가 흥미를 가지고 놀 때라는 점입니다. ​ 또한 장자 사상은 스케일이 남 다릅니다. 소요유의 제일 앞 부분에서 일반적인 상상으로는 그릴 수도 없는 거대한 스케일을 뽑냅니다. 황화의 신과 바다의 신과 대비하고, 매미와 대붕을 대비하고 백 리 길 소풍을 떠나는 사람과 천 리 길 소풍을 떠나는 사람을 대비하고 700살다 간 팽조와 8000년을 살다간 대춘을 대비합니다. 이를 통해 자잘한 사람이 아니라 크고 굵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는 뜻을 알 수 있습니다.




2) 제물론 

삶의 실력, 장자 책 등을 단순히 읽기만 해서 자신에게 어떠한 변화도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책을 통해 읽은 글은 단순히 지식 수준에 머물게 되는 점인데요. 이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은 간단하지만 실천하기는 상당히 어렵습니다. 바로 자기가 무엇을 원하는 사람인지를 자신이 아는 것입니다. 책을 통해서 장자에 대해선 누구보다 잘 알지만 읽은 자신에 대해서 고찰도 필요하다는 뜻이죠. ​ 이걸 최진성 교수님은 자기 각성이라고 표현합니다. 


자기 각성 하기 전에는 자신의 정해진 마음에 의해 세계의 좁은 부분을 전체로 착각하거나 있는 것을 없다고 하거나 파란 것을 붉은 것으로 착각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착각에서 삶의 온갖 비효율과 어깃장이 나오게 되고 그래서 행복하지도 자유롭지도 않게 된다고 합니다.


이 포스팅은 위즈덤하우스에 책을 받아 읽고 주관적으로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