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집중력의 배신 - 원치 않는 집중을 끊어내는 몰입 혁명 ㅣ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23
한덕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24년 6월
평점 :

1) 좋아하는 일과 싫어하는 일
사람이 살면서 좋아하는 일을 하고 금전적으로 여유가 있으면 너무 좋죠. 현실은 어느 정도 타협을 하면서 살아갑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 문득 집중력에 대해서 궁금해집니다. 좋아하는 일에 집중력을 더 쓸지 반대로 싫어하는 일에 머리를 더 굴릴지 말이죠. <집중력의 배신>의 저자인 한덕현 교수님은 의학적으로 싫어하는 일이 지속적으로 가능하기 위해 사람은 오랫동안 고민을 하게 만들어 집중력을 더 발휘 할 수 있다고 알려줍니다. 예를 들어 다이어트 선언한 사람이 다이어트라는 목표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정해진 시간과 섭취량, 운동 루틴 등을 계산해 목표를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먹습니다. 반면 다른 사람은 치팅데이가 아님에도 무계획적으로 먹거나 정량 이상으로 서너 개를 먹어버리기도 합니다. 이런 행동이 나타나는 것은 충동성 때문입니다. 그럼 집중력을 높이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한덕현 교수님의 말씀은 간단하지만 생각 보다 쉽지는 않습니다. 해야 할 일은 수단과 방법을 계획하고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정신을 모으는 일을 하라고 알려줍니다. 즉 고3처럼 어떤 욕망을 이루기 위해 한자리에 앉아서 또는 하나만 바라보며 행동하는 것을 늘리는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이죠.

2) 도파민 중독
도파민 뜻은 뇌에서 기쁨과 보상을 느끼게 하는 신경전달물질인데요. 그럼 도파민 중독 뜻 무엇일까요? 과도한 도파민 분비로 인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보상 체계가 과도하게 자극되어 특정 행동이나 물질에 대한 의존성이 생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속되다가 심각해지면 조현병(정신분열증) 환자처럼 망상이 보일 수 있습니다. 도파민 수치가 높아지면 기분이 좋아지고 동기부여가 상승합니다. 그러나 과도한 도파민 분비는 중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중독의 조건은 무엇일까요? <집중력의 배신> 책의 한덕현 교수님은 크게 3가지로 나눕니다. 갈망, 내성, 금단 증상. 이것들을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갈망은 무엇인가 간절히 바라는 마음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무언가를 하고 싶고 보고 싶고 섭취하고 싶고 자고 싶고 ..... 등이 있겠죠.

이런 갈망(craving) 상황은 특정 목표에만 너무 집중하다 보니 다른 행동이나 생각은 아예 들지 않고 오로지 그것만을 바라게 만드는 상태를 뜻합니다. 그럼 내성은 무엇일까요? 어떤 행위를 반복해서 수행함으로써 이로 인한 효과가 점차 줄어드는 것인데요. 이전과 같은 즐거움을 느끼거나 같은 욕망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 행위 횟수와 양이 점점 늘어나야 한다는 점입니다. 만약 그러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오면 어떻게 될까요? 그때 빠지게는 금단 증상입니다. 대표적으로 아이들이 핸드폰으로 열심히 숏츠를 보고 있는데 갑자기 가져가 버리면 큰일 납니다. 전쟁이 날지 모릅니다. 천둥 번개 치듯이 아이는 울고불고 떼를 쓸 것입니다. 또한 전자안개를 피워야 하는데 배터리가 부족할 때 손이 떨리는 것처럼 말이죠. 이런 중독 현상을 이겨내기 위해서 도파민 디톡스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