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런트엔드 개발을 위한 테스트 입문 - 프런트엔드 테스트 기초 지식부터 UI 컴포넌트 테스트, E2E 테스트 등 상황에 맞는 테스트 전략까지
요시이 다케후미 지음, 원밀리언라인즈코딩(배언수) 옮김 / 제이펍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코드 신뢰성 보장

SI와 서비스 기업의 차이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지 안 하는 지로 볼 수 있습니다. 다 그런 것은 아니에요. SI는 계약서상에 적어져 있지 않으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기능만 동작하고 그 서비스가 개발 비용보다 수익만 벌어주기만 하면 됩니다. 만약 수익이 낮다고 클라이언트가 판단되면 고소미를 선물 받을 수 있는데요. 잔금을 깎으려는 계략이죠. ​ 반면 서비스 기업(네카라쿠배 등 유명기업)은 조직 구성과 생각부터 다릅니다. 이 서비스는 내 자식이야. 그래서 많은 애정이 들이죠. 그중 하나가 테스트 코드. 이걸 하게 되면 마음이 한결 가벼워집니다. 하지 않았을 때는 어디에서 문제가 터지는지 하나하나 디버깅을 해야 했죠. 하지만 테스트 코드를 짠 후는 확인 할 코드양이 훨씬 줄어드는데요. 빨간 불만 먼저 보면 되기 때문입니다. ​




다만 이 책은 켄트 벡의 TDD까지 바라지는 않습니다. 조직마다 커버리지를 정해서 이거는 꼭 확인해야 한다는 지점을 만드는 게 중요한데요. 백엔드에서 받는 API와 비즈니스 로직은 되도록 하려고 애씁니다. 요즘은 코파일럿 넘 좋잖아요. 이걸 활용하면 큰 맥은 잡아줘 편 하더라고요. 레거시가 많다고 하면 아키텍처가 설계 부분을 조정해서 하는 것도 방법이겠죠. ​ 또한 Github Actions이나 젠킨스 조건을 테스트 코드가 초록 불이 확인 후 PR가 되게끔 하면 리뷰를 하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도 코드의 신뢰성을조금 더 느낄 수 있을 거예요. 하지만 만병통치약은 아닌데요. 버그는 생각지도 못하는 곳에서 종종 터집니다. 그 부분을 해결하면서 실력이 느는 것이라고 봅니다.




2) Jest, 리액트와 Next.js 써보기

이 책은 테스트 코드를 익히기 정말 좋은 도서인데요. Jest를 기반으로 리액트와 Next.js의 테스트 코드를 쓰는 방법론에 대해 상당히 자세히 알려줍니다. 시중에 나온 대부분 테스트 책은 Junit 기반에 백엔드 개발의 주로 쓰인 자바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그중 JS에 대해 한빛미디어의 <풀스택 테스트> 책이 나와 있기는 하지만 깊게 다루지는 않습니다. ​ 오히려 이 책이 인터랙션과 Next.js까지 깊게 다뤄서 프런트엔드 개발자에게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가격도 더 착해서. 특히 책의 비동기 처리가 포함된 UI 컴포넌트 테스트를 부분은 인상 깊게 봤습니다. 보통 테스트 코드 짤 때 괴로운 부분은 비동기죠. 언제 어디서 코드가 브라우저에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수수께끼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이 책이 도와줄 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