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면 혁명으로의 초대 IFS - 내 마음속 독재자로부터 탈출하는 법
리처드 슈워츠 지음, 권혜경 옮김 / 싸이칼러지 코리아 / 2024년 4월
평점 :
우리 내면은 다양한 모습들이 존재합니다.
때로는 이성적이면서 합리적인 모습이 있습니다.
반면 감정적이고 충동적인 모습도 있죠.
시도 때도 없이 서로 다른 모습들이 마음속에서 공존하며 말을 합니다.
그러나 마음속 상처가 자리 잡고 있다면 치료를 해야겠죠?
내면을 들여다보는 심리치료사 쓴 책이 나왔습니다.
바로 <내면 혁명으로의 초대 IFS>라는 책입니다.
이 책은 리처드 슈워츠 박사가 썼습니다.
리처드 슈워츠 박사는 트라우마로 고통받는 내담자들과 함께 내면의 지형을 탐구했는데요.
즉 사람들의 내면에 있는 다양한 마음을 묘사한 것을 바탕으로 IFS(내면가족체계)를 개발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내면혁명으로의 초대 IFS> 책을 읽은 내용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IFS 모델, 실제 적용 사례
IFS 모델은 개인, 집단, 가족 상담 등에서 활용이 됩니다.
<내면혁명으로의 초대 IFS>책의 예를 들어 우울증에 걸린 내담자는 비관론자에 지배 됩니다.
이 비관론자가 내담자를 상처받지 않게 하기 위해서 외부나 내면 자극을 차단합니다.
내담자는 완전히 냉담하고 무기력하게 되고 무가치한 존재라고 느낄 수 있습니다.
이때 추방자들의 생성하고 강렬한 감정을 억제 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줍니다.
앞선 예의 비관론자, 추방자는 책의 저자가 묘사로 들은 마음을 인격체로 표현한 것입니다.

2. 참나는 무엇인가
우리 내면의 참된 자아.
우리가 평소 알고 있는 나라는 존재와는 다른 차원이라고 설명 하는데요.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나의 실제로는 생각, 감정, 행동 패턴의 집합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참나는 내면에 존재하는 가장 본질적이고 순수한 자아 및 자신을 의미로 표현합니다.
<내면 혁명으로의 초대 IFS> 책의 리처드 슈워츠 저자는 IFS 모델의 핵심이 참나라고 합니다.
1) 참나 찾는 방법
대표적인 방법은 길 명상입니다.
길 명상 수행은 긴 심호흡으로 시작 하는데요.
머릿속으로 자신이 길 시작점에 있다고 생각 합니다.
이때의 길은 자신이 가본 길일 수도 있고 가보지 않을 길일 수도 있습니다.
길을 계속 가보면서 어떠한 생각을 하는지 확인하며 참나를 찾습니다.
즉 길 속에서 부정적인 감정이나 긍정적인 감정을 찾는 여정으로 볼 수 있습니다.

PS
저 역시 책이 처음엔 어렵게 느껴졌습니다.
생소한 말과 단어 때문이 큽니다.
읽다 보면 이 말이 저 말이구나 이해가 됩니다.
내면 혁명으로의 초대 IFS 책은 동, 서양의 철학과 종교의 예시를 통해 다양한 관점을 설명 해줍니다.
보통 사람들이 생각과 감정과 관계를 맺는다 말을 처음 들으면 이해하기 힘들 것입니다.
그러나 누구나 다 그걸 의식하지 못하고 있지 몸은 반응 하고 있는데요.
책의 실습 방법을 통해 일반인동 충분히 IFS 모델을 삶에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이 책은 트라우마를 가진 사람들에게 추천해 드리는데요.
자신의 상처 받은 내면을 치료 해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