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검찰을 떠난 이유 - 검찰 부패를 국민에게 고발하다
이연주 지음, 김미옥 해설 / 포르체 / 2020년 11월
평점 :
어려서부터 경찰, 검사 등의 꿈을 갖는 사람이 있습니다.
요즘에 검경수사권 관련 드라마도 나오고 있습니다.
검찰과 경찰의 비리도 다룹니다.
정의 구현을 위해 이 꿈을 선택했을 건데요.
검사가 되고도 검찰을 떠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중 전직 검사였던 저자가 쓴 책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오늘 살펴볼 책은 '내가 검찰을 떠난 이유'입니다.
떠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하신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합니다.
검찰 내부의 사람이 안의 상황을 제일 잘 알 겁니다.
불합리하고 잘못된 게 있다면 바르게 잡히길 바랍니다.

1.두 종류의 검사
검사는 두 가지 분류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하나는 검사 조직을 사랑하는 검사입니다.
다른 검사는 인간을 사랑합니다.
조직을 사랑하는 검사는 조직에 충성합니다.
충성은 좋지만 부패한 것까지 충성하는 것은 아닙니다.
옳은 것은 옳고 아닌 것은 아니다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부패로 잘못돼 왔던 것들이 바로잡히면 좋겠습니다.

2. 검사의 부정적 모습
검사하면 엘리트로 생각이 들지만, 부정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부정적인 측면에 뭐가 있을까요?
그것은 불공정 인사, 여성 차별, 스폰서 문화, 언론 유착이 있습니다.
또한 전관예우, 사건 조작이 있습니다.
이런 문화는 국민들을 보호해주지 않습니다.
힘과 돈 그리고 아는 것이 없으면 대처도 못 합니다.
밖으로 드러난 사태는 뉴스를 통해 들으셨을 겁니다.
밖으로 드러나지 않은 것도 있을 텐데요.
그로 인해 누명을 쓰거나 불합리한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조직 내 인사에서도 유리하게 해주기도 합니다.
자기 식구 봐주기로 처벌받지 않게 해줍니다.
처벌받아야 할 사람이 받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Ps
저자 이연주 변호사는 검사 출신 변호사입니다.
직접 경험한 것을 토대로 검찰의 내부를 보여주는 책인데요.
전직 검사가 알려주는 검찰 내부가 궁금하신 분들에게 이 책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