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획자의 일 - 아이디어, 실행, 성과까지 일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양은우 지음 / 비즈니스북스 / 2020년 6월
평점 :
회사 생활 할 때 주로 맡은 업무는 개발과 기획입니다.
이 중 기획 일을 더 많이 했는데요.
일할 때 가장 어려웠던 점은 새로운 일들을 하면서 경험이 부족 했던 점이 가장 컸습니다.
당시 이겨 낼 수 있었던 점은 관련된 분야에 대해서 책들을 주말마다 5권씩은 읽었습니다.
그러니 시장에서 하는 단어 및 용어들이 이해 가고 일을 어떻게 해야 할지 감이 잡혔습니다.
이번 소개해드릴 책은 '기획자의 일'인데요.
기획자로 25년 이상 근무 경력이 있는 저자가 기획에 대해서 풀어쓴 책입니다.
이 책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진짜 니즈를 파악하자
기획서를 제출할 때 상사의 진짜 니즈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사에게 기획서를 제출하고 컨펌을 받습니다.
기획서는 상사가 생각한 의도에 맞게 작성해야 컨펌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니즈를 파악하려면 상사의 마음을 읽을 수 있어야 합니다.
상사가 흡족해하는지 싫어하는지 파악해야 기획서의 성공 유무가 갈라집니다.
기획 일을 하려면 질문을 통해 기획을 옳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첫 단추를 잘못 꽂으면 처음부터 다시 꽂아야 하듯 기획도 의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받자
기획은 피드백을 받으며 적극적으로 참고해야 합니다.
보고서를 작성했지만 까이는 이유는 피드백을 제대로 듣지 않기 때문입니다.
피드백을 받는 이유는 경험 있는 상사가 최선책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피드백에 의문을 품고 답을 찾으려 하면 상사가 원하는 기획 보고서를 작성 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를 작성할 때 무엇을 잘못했는지 피드백으로 상사가 부족한 점을 알려줍니다.
상사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피드백은 보완해서 제출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누구나 피드백을 해줄 때 듣는 사람을 좋아합니다.
피드백을 해줘도 듣지 않는다면 피드백해 주고 싶은 생각도 없어질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기획서를 작성하려면 피드백을 중요하게 생각하시길 바랍니다.

PS
기획은 시장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은 기획을 왜 하는지(상사의 생각 읽기), 어떻게 하는지 등 A ~ Z까지 저자의 노하우가 즐비한 책인데요.
사내에서 기획 업무를 맡은 기획자나 관련 업무를 하는 분들에게 추천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