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에 가면 산나물 들에 가면 들나물 - 어린이를 위한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 지식은 내 친구 8
오현식 글.사진, 박은지 그림 / 논장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은 뭐 해 먹지, 하는 것이 스트레스로 다가올때가 종종 있다.

아마 주부들이라면 한번쯤 이러한 생각에 공감이 갈 것이다.

근래에 와서 많이 얘기 하고 듣는 이야기가 아이들이 고기만 먹으려하지 채소는 먹으려 하지 않는 다는 것. 거기다 30.40대 주부들인 엄마들조차 시장 좌판에 깔린 푸른 채소, 특히 나물들의 이름을 몇가지나 알까 싶다.

식탁에 놓인 나물이 모두 시금치라고 말하는 아이들이 이상할 것도 없다.

굳이 식탁과 연결을 짓지 않더라도 산에 올라 보이는 새싹이나 화초에 자연 눈길이 가는데 이조차 무식쟁이임이 드러난다.

'어린이를 위한 산나물 들나물 대백과'라고 했지만 사실 어린이보다 어른을 위한 책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 어쩌면 아이들의 관심분야에서 동떨어진 것일 수도 있지만 가족이 함께 책을 읽고 한가지라도 직접 야외에서 보고 반찬으로 먹으며 이야기를 나눈다면 가치가 높은 책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다.

 

크게 들나물과 산나물로 구분하였는데 이런 구분은 무의미해 보인다. 나같은 문외한은 어차피 나물로 통칭되는 것 외에 다르게 보지 않거니와 실제로 산이나 들에가서 나물을 뜯거나 꺽지 않을테니.(고사리는 특별히 꺾는다는 표현을 쓴다) 슈퍼나 기껏해야 시장에서 구입하는 것이기에.

백과에 걸맞게 조잡하거나 너무 단순화해서 발행되는 식물도감보다 낫다.

꽃과 잎, 뿌리 뿐 아니라,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모습까지도 담았고 식물의 어릴때와 완전히 커서 다른 모습까지 보여준다.  나물책이니 만큼 간단한 요리법은 덤이고 영양 성분까지 담고 있지만 사실 이러한 정보에 눈길이 가지는 않았다. 내 경우엔. 하지만 남편은 혈압이니 해서 건강에 관심이 많아서인지 이러한 정보에 관심이 많아 보였다. 대부분의 나물들에는 칼륨이 많다는 것을 남편의 입을 통해 알게 되었다. 책을 보는 중간중간 '나 방풍나물 먹어봤냐'고 묻기도 했고 삼겹살을 곰취에 싸 먹으면 맛나다고 핫한 반응을 보였다.^^

백과사전 구성이 아닌 이야기책 형식이라 딱딱하지 않고 재미있다. 특히 이름들이 얼마나 소박하고 정겨운지. 곰이 좋아하는 곰취, 쑥쑥 잘 자라서 쑥, 어수리, 수리취, 우산나물, 질경이 등등 세련되지 않아도 충분히 멋스럽고 친근감이 든다.

사진과 그림의 적절한 배치 등 여러가지로 맘에 쏙 드는 책이다.

오늘 저녁 반찬이 걱정이라면 이 책에 나온 나물 중 한가지로 해 보는 건 어떨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