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신 백과사전 - 고전 속에 숨어 있는 우리 귀신 이야기
이현 지음, 김경희 그림, 조현설 감수 / 푸른숲주니어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에 보이지 않아서 더 무섭고 궁금한 귀신 얘기는 좋고 싫고를 떠나 흥미롭다.
특히나 여름이면 남량특집이란 이름하에 영화건 드라마건 쉽게 접할 수 있다.
그렇다면 책도 남량특집이 가능하지 않을까? 그렇다면 나는 이 책을 첫번째로 꼽으리.^^ 

굉장히 흥미롭다. 그리고 이전에 많은 아이들이 보아온 귀신관련 만화와는 많이 다르다. 단순히 재미와 흥미 위주로만 구성된 만화는 그림자체에서도 확연히 드러난다. 물론 만화라는 도구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 부분을 피해가기는어렵다.

그렇기에 접근에서부터 귀신이란 확실하고 구체적인 형상이 없는 것을 대부분의 것을 그림으로 전달하려는 것 자체가 넌센스일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책 <귀신 백과사전>은 만족스럽지 못했던 부분을 완벽히 해소시켜줄까?

책을 읽기 전부터 흥미와 의구심이 반반씩 섞여 묘한 호기심을 불러 일으켰다.
사실 책을 읽은 지금도 뭐라 명확히 판단이 서질 않는다. 하지만 허접한 만화와는 질적으로 다르다. 뭣이? 라고 한다면, 대답하리오~

예를 들면 오늘이, 강림도령, 바리데기, 대별왕, 야광귀와 같은 옛이야기 속의 이야기를 끌어왔기 때문에 비교육적인 쓰레기 같은 책과는 다르다는 것.

학산한언, 천예록, 대동기문, 금오신화, 설공찬전 등을 참고로 했다는 것은 전혀 뜬구름 잡는 식의 작가가 마구마구 부풀리거나 허구의 이야기만 늘어 놓은 것이 아니란 점을 들 수 있다. 그래서 책을 읽고 시간이 아깝다고 느끼는 이전의 만화와는 다르다. 헉~ 다른 책을 헐뜯고자 하는 건 아닌데-.-

대부분의 이야기가 옛 이야기에서 많이 보아왔던 친숙한 이야기와 사이사이 흥미거리가 될 것들을 적절히 믹스시켜 책 읽는 행위를 싫어하거나 만화만 보는 아이들에게도 대박이란 소릴 듣고도 남을 것이다.

흥미로울 소재에 끌리는 제목.
책장에 꽂아두기가 두렵다. 왜? 맨날 이 책만 볼까봐.
얘들아, 이 책 말고 그 옆의 금오신화도 읽어줄래?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