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두사 - 신화에 가려진 여자
제시 버튼 지음, 올리비아 로메네크 길 그림, 이진 옮김 / 비채 / 2024년 7월
평점 :
그리스 신화를 읽어보려고 시도한적이 있었다. 몇페이지 읽다가 무슨 신들이 인간보다 변덕도 심하고 그런 막장이 따로 없어~하고 덮었었다. 간혹 한 부분만을 들을때는 재밌는데 전체를 보려니 매력이 없었던 책이었다. 메두사. 머리가 뱀으로 이뤄져 그녀를 보는 사람은 돌로 변한다는 신화. 단지 내가 아는 건 그것 하나였던 메두사였기에 책을 읽다 말고 검색에 들어가야했다. 순전히 한 방향으로만 쓰여진, 페르세우스의 업적을 높이기 위해 쓰여진 글이었다 싶었다.
이번에 출간된 <메두사>는 그리스 신화를 현대적인 시각으로 다시 쓰여졌다. 표지에 부제처럼 신화에 가려진 여자 <메두사>의 시선으로, 그녀에게 목소리를 부여해 쓰여진 소설이다. 서정적인 글과 감각있는 삽화로 마음과 눈길을 잡는다.
그 어느 누구와도 비교할수 없는 아름다움을 타고난 메두사, 메두사에 반한 포세이돈의 지독한 집착에 영혼이 파멸되어가던 메두사는 아테나에게 도움을 청하고 아테나의 신전으로 은거한다. 아테나가 없는 틈에 포세이돈은 메두사를 범하고,아테나는 자신을 신전을 더렵혔다며 메두사의 머리카락을 뱀으로 만들어 버리는 벌을 준다. 신전을 더렵혔다는 건 핑계,메두사의 아름다움에 대한 질투다. 두 언니들과 함께 외딴 섬에 살아가고 있는 메두사, 배를 타고 메두사를 찾아 다니다 길을 잃고 그 섬에 표류하게 된 페르세우스. 동굴속에서 바위 하나를 사이에 두고 그들은 서로 얼굴을 보지 않고 대화를 하게 된다. 그런 날이 하루 이틀, 자신의 속내를 이야기 하고 가까워지고 서로를 사랑하게 되는데 ...
자신을 사랑했던 메두사는 가혹한 자신의 운명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4년동안 인적이 없는 섬에서 살았다. 지독한 운명의 동굴속에서 벗어나지 못하던 메두사가 자신을 똑바로 보기 시작하고 늪에서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은 문장들로 살아난다. 페르세우스로 인해 메두사는 자신이 자신을 너무나도 사랑하고 있음을 깨닫게 되는 과정이 아픈 사랑이지만 따스하게 그려진다. 신화의 재해석이라는 점, 여성의 시작으로 신화를 다시 보게 된다는 점, 마치 어른을 위한 동화같은 소설이었다.
“예쁜 여자라는 말보다는 잘생긴 남자라는 말을 듣는 편이 더 쉬울 것 같아, 여자에게 아름답다는 말이 따라붙으면, 그게 곧 그 애의 존재의 본질이 되거든.그 애가 가진 다른 모든 가능성을 덮어버려. 남자는 그 사실이 모든 가능성을 덮어버리지는 않잖아”(p.85)
“때론 말이야. 삶은 대답하고 싶지 않은 끝없는 질문의 연속인 것 같아. 한동안은 대답하지 않고 살수도 있겠지. 한동안은 내면의 소리를 못 듣는 사람인 척 할수도 있어.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인 척, 내가 하는 생각,내가 느끼는 감정이 진실이 아닌척.” (p.179)
신화는 얕은 무덤에서 새로운 모습으로 찬란하게 솟아 오른다. 나의 팔과 다리, 나의 몸과 가슴을 빼앗아도 좋다. 나의 목을 베어도 나의 신화는 끝나지 않는다.(p.217)
출판사의 지원도서이며 주관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