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와인드 : 하비스트 캠프의 도망자 ㅣ 언와인드 디스톨로지 1
닐 셔스터먼 지음, 강동혁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7월
평점 :
<하트랜드 전쟁>이라고 불리는 2차 내전, 한가지 문제를 두고 오랜기간 피튀기는 전쟁 끝에 <생명법>이라는 헌법 개정안이 통과된다. 이 생명법은 인간이 잉태된 순간부터 13세에 이를 때까지 그 생명에 대한 침해를 금지한다. 그러나 13세에서 18세 사이의 아동은 부모가 소급적으로 <중절>할수 있다.아동은 기술적으로 죽지 않는다. 중절함과 동시에 살려두는 과정을 <언와인드>라고 한다. 생명법으로 오랜 전쟁은 끝났지만 아이들은 기계처럼, 하나의 부속이 됐다.
언와인드가 흔한 관행이 되어버린 조금 먼 미래, 부모는 자식을 키우다 아이가 본인이 키우기에 벅차다는 이유로, 혹은 열등하다는 이유로, 혹은 이혼하는 과정에서 부모중 어느누구도 키울수 없게 하기 위해서, 즉 부모의 이기심으로 언와인드 서약서에 서명을 한다. 한번 서명하면 어떤 경우에도 돌이킬수 없다.
청소년기를 지나는 자녀가 충동적이라는 이유로 언와인드가 될 예정인 코너와, 주립 보호시설에 예산이 깍이게 되면서 언와인드 대상이 된 리사, 그리고 어릴적부터 언와인드가 될, 십일조 아이로 키워진 레브는 자신을 버린 부모로부터, 시설로부터 탈출을 감행한다. 그리고 그들은 언와인드가 되지 않기 위해 18살이 되기전까지 도망자가 되기로 하는데.....
초반엔 작가의 세계관이 당혹스럽고 버거웠다. 임신중절은 안되는 데 잘 키우다가 13살에서 18살 사이에 있는 아이들을 몸을 여러조각으로 나눠.없지만 있는,죽었지만 살아있는 상태로 만든다는 것이 내 가슴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는데, 코너, 리사, 레브가 도망자로 살아가며 겪는 사건들 속에서, 만나는 사람들속에서 극적인 소재를 선택한 이유가 단지 흥미를 위한 것이 아님을 알게 되고, 어느새 아이들을 응원하게 되면서 이야기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
그럼,몸의 모든 부분이 살아있되 다른 누군가의 안에 있는건...... 살아 있는 걸까, 죽은 걸까? (p.242 )
도망자가 된 아이들이 모여 언와인드에 대한 논쟁을 할 때 던져진 질문은 줄곧 이야기를 따니게 되는데, 장기기증과 인간의 존엄, 임신중절에 대해, 인간의 생명에 대해 계속적인 질문을 심각하게 던지는 책이다. 재미는 보장이다. 책을 읽으면서 고민해야 할 질문과 재미를 가진,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책이 참 오랜만이다. 책을 집어든 순간부터 덮을때까지 손에서 놓을수가 없게 만드는 이야기의 힘이 있다, 영화처럼 그 장면을 상상하게 만드는 작가다. 닐 셔스터먼의 『수확자』 는 읽고 싶었는데 시리즈로 되어 있어서 고민하다가 아직인데 그 책도 궁금해진다.수확자 시리즈도 읽어야 할까부다
2권이 시급하다. 시급해
후반부 언와인드 상황은 너무나 가슴이 아팠던;;
1.언와인드:하비스트 캠프의 도망자
2.언홀리:무단 이탈자의 묘지
3.언솔드:흩어진 조각들
4.언디바이디드:온전한 존재
출판사의 지원도서이며 주관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