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붉은 옷의 어둠 ㅣ 모토로이 하야타 시리즈
미쓰다 신조 지음, 민경욱 옮김 / 비채 / 2024년 4월
평점 :
작가의 모토로이 하야타 시리즈의 <검은 얼굴의 여우> <하얀 마물의 탑> 이후 시리즈의 3번째 <붉은 옷의 어둠> 은 전작과 비슷한 일본의 패전 이후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3번째 책이기 하지만 탄광에서의 활약 이후를 다루고 있어서 시간적으로는 두 번째로 볼수 있겠다
전쟁 직후 국가를 재건하기 위해 광부를 자처했다가 기괴한 사건에 휘말렸던 하야타는 이제는 구마가이 신이치의 초대로 도쿄에 가서 암시장의 뒷골목에서 벌어지는 괴이한 사건을 규명해달라는 제의를 받는다. 워낙 길이 복잡하고 기이해서 붉은 미로라고 불리는 암시장에서 일명 ‘붉은 옷’ 이라는 괴인이 출몰한다는 소문이 퍼지고 그로 인해 불안해하는 상인과 여자들, 정체를 알수 없는 괴인, 갈수록 늘어나는 소문과 기묘한 사건들속에 휘말리는 모토로이 하야타.
사건 해결을 위해 목격했거나 정체 모를 것의 미행에 도망을 쳤거나 그 순간의 기이함을 경험한 이들의 이야기를 듣게 되고 붉은 미로를 직접 탐사하며 해결을 위해 뛰는 도중 묵고 있는 파친코에서 살인 사건이 발생한다. 빠져 나갈수 없는 공간에서 벌어진 밀실 사건, 밀실에서 일어난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붉은 미로로 나서는 그들에게 이제 골목 골목이 밀실이 된다.
“그건 그렇고 국가는 말이야, 우리를 아무렇지 않게 배신하고 깨끗이 버리더라 (p.108)
단순 호러물이라고 보기에는 어려울 만큼 여러 가지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작가는 호러의 비중이 크다고 설명한다고는 하지만 ‘붉은 미로의 붉은 옷 살인사건’ 이라는 이야기 뒤에 곳곳에 의미 없는 전쟁이 남긴 참상을 고발하는 사회소설이라고도 볼수 있다.
일본의 패전은 한국의 광복과 이어지는 부분이라 민감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인지 이런 민감한 부분을 아주 조금이라도 문학 속에 녹여내는 일본작가는 드물다, 소설속에 태평양 전쟁이 일본의 침략 전쟁이었음을 명시하고 그 전쟁의 흔적들을 드러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을듯 싶다. <하얀 마물의 탑> 에서도 전쟁후 국민들의 참상을 드러낸 부분이 있지만 이 책에서는 남자 어른들의 전쟁으로 아이들과 여인들이 어떻게 인권을 유린당하고 처참하게 버려졌는지 이야기의 곳곳에서 만날 수 있다. 전쟁 고아들을 잡아다가 오지에 버리는 부랑아 사냥이나 패전후 정부가 서둘러 발족한 ‘특수위안 시설 협회’에서 일본 여성의 순결과 미국 병사의 ‘위안’ 이라는 말도 안되는 명목으로 미군을 상대로 매춘하는 일을 정부가 적극 나서서 여성을 모집했던 일들이 나오는 부분에서는 아무래도 잠시 멈짓 할 수밖에 없다. 출간 후 자국민들의 반응이 궁금 해지는 이유다
참혹한 역사와 어둠속에 붉은 옷의 괴인,미로 속에서 길을 잃을 때 비 현실적인 정황, 과학이 설명할수 없는 기이함, 토속적인 오컬트, 그리고 합리적인 추리를 하는 모토로이 하야타. 그리고 셜록과 왓슨과도 같았던 하야타와 신이치와의 브로맨스는 보너스~
<검은 얼굴의 여우>를 안 읽었는데 제일 재밌다고 하니 읽어봐야 할 것 같다
출판사의 지원도서이며 주관적으로 작성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