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확실성의 시대 - 찬란하고 어두웠던 물리학의 시대 1900~1945
토비아스 휘터 지음, 배명자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5월
평점 :
찬란하고 어두웠던 물리학의 시대 1900~1945
과학은 누가 뭐라 해도 어렵다. 왜 어렵냐고 물으면 안된다.그냥 어려운 거다. 특히 물리학은 정말 어렵다. F=ma 까지는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양자가 등장하는 순간 물리학으로부터 멀어지고 싶어진다.나도 그랬다 (p.45)
20 세기가 시작되면서 폭발적으로 성장해 물리학의 시대라고 불러도 좋을 만큼의 황금같은 시대였다. 짧은 시기에 세계대전이 두 번이나 일어났던 혼란의 시기이기도 했던 이 시대에 거장이라도 불러도 좋을 학자들이 공존했다. 1900년대에서 1945년도까지의 시간의 흐름속에 과학의 이야기와 과학자들의 삶을 담은 이 책에는 우리가 익히 잘 알고 있는 그 유명한 상대성 이론을 발견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방사능에 대한 연구 마리 퀴리으로부터 닐스보어,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에르빈 슈뢰딩거, 볼프강 파울리,등등 그들이 서로 다른 이론들이 얽히고 설켜 또 다른 새로운 발견을 하고 시대를 변화로 이끌어가는 반면, 전쟁이라는 혼란의 시기에 때로는 정치적으로 희생양이 되기도 하고, 전쟁터에서 죽기도 하고, 유대인이라는 이름으로 세계를 방황하게 되기도 하고, 자신의 연구를 위해 나치에 합류하게도 되는 그들의 행보는 안타깝기도 하다. 여러 갈래로 뻗어나가던 그들의 연구가 하나의 물줄기로 모여질 때 결과는 의도하지 않았던 원자폭탄이라는 거대한 괴물이 탄생한다. 자신들이 만들어 낸 결과물로 전쟁이 끝나기는 했어도 기쁘게만 받아 들일수 없었던 그들에게 혼란이 남았던 그런 시대를 살다간 위대한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속으로 빠져들었던 시간이다.
헝클어진 머리에 짧은 반바지에 슬리퍼를 신고 다니고 자신의 아내에게는 한없는 찌질이였던 아인슈타인, 타인의 시간의 자유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밤이나 새벽이나 자신의 머릿속에 형광등이 켜지면 찾아가서 토론을 해야만 직성이 풀리는 보어,세상의 모든 여자는 자신의 욕구만을 위해 존재하여 환장 대막장에 가까운 사생활을 하는 슈뢰딩거, 그의 곁에는 항상 불운이 따라다녀 <파울리 효과> 라는 말이 생겨나게 할 정도로 불운했던 파울 리가 자신이 어찌할수 없었던 머릿속을 헤집고 다니는 그 많은 꿈들, 정신적인 혼란을 치료하고자 만났던 정신분석학자인 융, 친부자지간보다 더 돈독했던 사이였던 보어와 하이젠베르크의 사이가 분열되어 가는 과정,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팽팽한 경쟁과 대립, 자신의 목숨과도 같은 물리학을 지키고자 고군분투 하지만 삶의 기로에서 나치에 합류하게 되는 하이젠베르크와 다른 학자들의 이야기는 어렵고 지루할수 있는 과학의 이야기를 한결 수월하게 읽을 수 있게 하는 양념과도 같아서 흥미로웠다.
책의 부재인 찬란하고 어두웠던 물리학의 시대 라는 제목이 어쩜 이리 딱인지 싶은 책, 위대하지만 찌질하고 인간다운 그들의 모습, 현대 물리학의 황금기가 불리는 20세기 초 ,짧다면 짧은 이 시대에 이런 거장들이 같이 살았다고 믿기지 않을 만큼의 소설적인 이야기들이다
이 책의 분류를 과학이라고 해도 좋을까 아니면 과학 역사서라고 해도 좋을까 싶지만 어느것에도 100% 공감은 되지 않는다. 그들의 삶과 물리학을 사랑하는 그들의 이야기와 그들의 찌질한 사생활과 그 시대의 사회적, 정치적 배경들과 함께 과학에 이야기가 어우러졌다. 책의 첫 문단에 나와 있듯 과학은 어렵다. 그냥 어렵다. 묻지 말라하지 않나. 그냥 어렵다. 정말이지 나도 그랬다. 고딩시절 제일 싫어하는 과목이 물리였다. 그랬다. 물리가 싫어서 총각 선생님이었던 물리 선생님도 좋아할수 없었다. 여튼 그랬다. 그런데 과학에 이야기가 더해졌다.이야기가 있는 과학은 재밌다.
과학은 이전에 아무도 몰랐던 뭔가를 모두가 이해할수 있는 말로 표현하고자 하고, 반대로 시는 이미 모두가 알고 있는 것을 아무도 이해할수 없는 말로 표현하고자 하지 (p.261)
출판사의 지원도서이며 주관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