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지성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 의식, 실재, 지능, 믿음, 시간, AI, 불멸 그리고 인간에 대한 대화
마르셀루 글레이제르 지음, 김명주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Great Minds Don’t Think Alike

 

물리학자이며 천문학자인 다트머스 학제간 참여 연구소 연구활동의 일환으로 ,2016년 가능 신경학자 안토니오 다마지오와 철학자 데이비드 차머스와의 대화를 시작으로 미국 전역의 극장과 대학을 돌며 5년간 진행한 여덟 번의 대담을 모은 결과물이다. 마르셀루 글레이제르의 사회와 각 계의 위대한 지성 두명의 대담과 일부 청중의 질문을 실은 이 책은 의식, 실재, 지능, 믿음, 시간, AI,불멸, 그리고 인간에 대한 대화들로 서로 다른 앎의 방식을 다양하게 접근하여 좀 더 폭 넓고 편협적이지 않은 심도 있는 대화로 끌어가는 책이다.


 

신경과학자와 철학자/불교학자와 이론 물리학자/천문학자와 철학자/과학과 종교의 대화/과학사가와 물리학자/신경학자와 작가/환경주의자와 의사/문학적 관점과 과학적 관점의 대화/


 

출연진을 이리 모으기도 쉽지 않았을 법한 이력을 가진 지성들의 대담을 모아서 볼수 있다는 하나만으로도 이미 충분한 이 책은 읽기 시작할 무렵 국내 예능프로중 하나인 [알쓸신잡]을 생각나게 했다. 그리고 또 하나 생각난 건 서로 저격하기에 바쁜 정치인들의~ 그야 말로 환장 부르스인 TV에서 나오는 토론이 생각났다. 이 두가지가 생각났던 건 우연은 아니리라 생각든다. 성숙한 토론이란 이런 것이다 라는 생각이 들게 했던 알쓸신잡의 기억을 가지고 책을 읽으면서 같이 나온 대담자와 서로 다른 의견을 이야기 하고 토론하고 청중들의 질문에도 답한다. 오늘날 인류가 직면한 많은 문제에 대한 다른 관점, 다른 시각, 해결하기 위한 아이디어들을 나누고 소통한다. 눈여겨 볼만한 점은 나의 생각과 관점에 파묻히지 않고 상대의 의견을 저격하지 않고도 대담을 끌어가며 상대와 청중들에게 자신의 의견을 전달할수 있다는 점이다.


 

8장으로 이뤄진 이 책을 읽는 것이 쉽지는 않았지만 읽고 나서 이 책을 읽었구나 하는 뿌듯함 또한 크다. 가장 흥미로웠던 장은 4<영성의 본질>, 5<시간의 신비>,8<인간이란 무엇인가> 였는데 그중에서도 5<시간의 신비>는 시간이 어찌 가느지 모르에 읽었던 장으로 우리가 평소 만인에게 평등하게 주어진다고 말하는 시간에 대한 여러 가지 시각 또한 ㅎ흐미로웠고 시간의 본질에 대해 파헤치는 그들의 집요함에 반한다,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는 아이슈타인과 베르그송의 일화는 더욱이 흥미롭다. 그와중에 아무리 어려운 과학이어도 이야기가 들어가면 더 재미있어 진다는 생각을 하는 순간이다.


 

변하는 것은 시간이 아니라 나입니다. 내일의 나는 어제의 나와 아주 조금 다릅니다. 그러니까 결론은 이렇습니다. 시간 자체는 그냥 거기 있을 뿐이고, 변하는 것은 나이다. 잠시 뒤의 나는 조금 전의 나와 다릅니다.각 순간의 나는 그 순간 세계의 상태와 상호관련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시간이 흐르고 있다건 움직이고 있다고 착각합니다.시간은 흐르거나 움직이지 않습니다. 시간은 공간과 마찬가지로 거기 있을 뿐입니다. (P.220)


출판사의 지원도서이며 주관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