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셰임 머신 - 수치심이 탄생시킨 혐오 시대, 그 이면의 거대 산업 생태계
캐시 오닐 지음, 김선영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4월
평점 :
표지부터 강렬했던 이 책은 읽으면 읽을수록 위험하다. 불안감, 자기혐오에 기반한 수치심을 이용해서 제도적으로,상업적으로 이윤을 취하는 이 시스템속에 이미 우리는 발을 깊숙이 디딘채로 살아가고 있음을 알게 되면 바짝 긴장하며 책을 읽고 있는 스스로를 발견하게 될지도 모른다.
뚱뚱하다는 죄, 사회적인 기준의 아름다움에 부합하지 않는죄, 나이 들어가는 죄 등 외모로 인한 수치심을 이용한 상업적인 사슬, 마약과의 전쟁, 질병으로 먹고 사는 기업들, 만들어지고 버려지는 중독자들, 빈곤층에 대한 막연한 편견과 밑바닥 혐오, 가난을 구제하겠다는 정책의 이면,혐오가 시작되는 SNS의 파급력과 연결되어지는 쇼설 미디어의 부작용 과시욕, 트래픽을 끌어올리는 거짓 뉴스와 조롱들을 이용해 기업의 이윤을 도모하는 현재의 온라인 시장등의 이면들을 면면히 파헤쳐보고 과연 우리가 앞으로 해야하는 남겨진 과제들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작가가 글 안에서도 말하듯이 이 책은 평생을 따라다니는 수치심에서 완전히 벗어난 사례들을 모은 자기 계발서가 아니다. 사회적으로 만연한 수치심을 이용한 사슬들의 세계를 똑똑히 보고 우리의 인생이 밝아지기 위해서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타인에게 불필요한 수치심을 주지 않을지, 인간관계에서 이 혐오와 조롱과 차별의 독소를 제거 할수 있을지를 같이 고민해보자 말한다.
읽으면서 가장 집중하며 읽었던 부분은 2부 혐오는 어디서 시작되고 확산되는가 편이었다. 2부에서 다루는 내용은 사이버 불링, 차별, 인셀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데 주로 온라인상에서 시작되고 확산되는 혐오와 차별, 불안, 피해망상 그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가지 현상들에 대해 여러 가지 사례를 접할수 있다. 나는 소설을 읽으며 주로 감동하고 전율하고 눈물짓고 그러기만했지 소설이 아닌 책을 읽으면서 발끝부터 한기가 드는 기분이 들어서 당황하기는 또 처음이다. 그때의 내 느낌은 아 좋다 가 아니라 아 무섭다 가 정확할 듯 싶다. 책을 읽는 생활을 하며 나름 바른 생활 사람으로 살고 있다고,나름 자신에 대한 믿음으로 살던 내 삶을 다시 돌아보게 하는 챕터였으니 나도 누군가에게는 악플러가 될수 있고, 혐오를 조장하고 있을수 있다는 것, 가스라이팅의 가해자가 될수도 있는 여러 상황들이 있었을 것이고 다만 그것을 인지하지 못한 상태로 지나칠수도 있을거라는 생각이 머릿속을 스쳐지나갔기 때문이다. 나의 온라인 생활을 돌아보게 하는 계기가 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