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K의 장례 ㅣ 현대문학 핀 시리즈 소설선 45
천희란 지음 / 현대문학 / 2023년 2월
평점 :
🏷 우리가 서로의 인생을 훔친다면 제법 공정한 거래이지 않겠습니까? (P.39)
제목으로도 이미 눈치챘듯이 K의 죽음으로 시작해서 K의 죽음으로 끝나는 이 소설은 죽음으로 이야기를 끌어내지만 정작 하고 싶은 이야기는 간절히 원하는 삶, 나의 삶에 대한 이야기이다. 단순하지만 타인의 인생을 송두리째 흔들어버릴수 있는 엄청난 제안, 만약 현실에서도 그런 제안을 받게 된다면 나는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지 한번쯤 생각해보게 하고 지금 나의 삶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질문을 던지는 이야기다. 아주 짧지만 읽고 난후 한참을 손을 놓기가 어려웠다. 책을 그리 훅 보내고 싶지 않아 두 번을 읽었다. 그리고도 서운했다, 책에 포스트잇이 붙은 페이지를 필사해가며 천천히 다시 읽었다.
책 뒷면에 있는 이 문장은 책을 읽으면서 페이지를 넘길수록 그 무게를 더해서 심장에 내려 앉아 착 하고 들러붙는다. 우리는 흔히들 풀리지 않는 일이 있을때 농담처럼 이번 생은 망했어 라는 말을 하곤 한다. 가끔은 서로의 몸속에 들어가 인생이 바뀌거나 전혀 다른 인생을 사는 내용으로~ 그렇다 재벌집 막내 아들 같은 드라마를 보며 대리만족을 하기도 한다. 현실적으로 가능성이 없는 일이기에 더욱이 상상의 나래를 펼쳐본적이 있지 않을까.
🏷 유명한 작가 K. 자신의 이름을 버리고 다른 이름으로 살아간 희정, 아버지와 같은 직업을 선책했지만 아버지의 딸임을 부정하며 이름까지 바꿔가며 활동하는 작가인 재인.
세 사람의 공통점은 자신의 이름을 버리는 사람들이라는 점이다. 자신을 버리고 타인의 삶을 살게 되는 사람들, 그들이 자신을 지워버리고 살았던 15년의 시간에 대한 이야기,자신들을 스스로 감옥에 넣었던 사람들의 이야기다. 두 번을 읽고 필사를 하며 읽으면서도 이해되지 않는 K. 자신의 선택에 어떤 책임이 따를지 짐작은 했을까.너무나도 이기적인 K. 혼란은 남겨진 이들의 몫으로 고스란히 숙제처럼 남는다.
유명한 작가, 그의 글을 자신의 이름으로 활동한 작가, 그리고 K의 딸인 작가, 주인공들이 작가인 연유로 이 책에는 문학과 소설은 그들을 이어주는 매개체로 나온다.. 세 사람의 삶 만큼이나 관심이 가는 내용 들어서 짧은 소설임에도 여운은 길다. 한손에 들어오는 판형, 가방에도 쏙 들어오는, 너무나도 이쁜 표지, 거기에 이야기가 더해지는 핀 시리즈는 선택하지 않을 재주가 없다. 읽으면서도 여러번 보았지만 리뷰를 작성하며 다시 보는 책표지, 내용과 씽크로율 딱인 그림, 나무의 모습으로 두다리로 버티고 있는 누군가의 가지에 여러 얼굴들이 있다.그리고 전체적으로 채도가 낮아 선명하지 않은 듯한 느낌을 주는 이런 그림. 책 이쁜건 또 못참지
📚 그곳에 머무는 동안 스스로를 유령처럼 여기지 않으면 안되었다. 누구도 강제하지 않아으나 어쩐지 숨을 쉬고 있는 자신을 자주 의식하게 됐다. K와 내가 함께 보낸 시간이 누적될수록, 그와 함께 보낸 공간이 나나 K보다 빠르게 늙어갈수록,그래서 그 모든 것이 익숙해 질수록, 나는 점차 스스로를 낯설게 여기는 일에 익숙해졌다 .(P.10)
📚 죽음은, 이별은 소멸은 간단히 추억으로 교환된다. 갈등과 분노는 안타까움과 의무의 기도에 침윤된다. 소멸한 자의 슬픔과 번뇌에 목소리가 주어진다. 죽은 자가 죽기전에 쌓은 악덕에 가장 설득력 있는 서사가 부여되고, 그의 죄는 그와 함께 소멸한다. 남은 자들의 고통은 재갈을 물고 신음한다.책임을 묻거나 싸울수 없고, 소멸을 되돌릴수도 없어서, 영원히 해소될수 옶는 통증 같은 것을 보물처럼 안고 살아가야한다. 산자들의 세계는, 그렇게 산자들의 평화를 유지한다. (P.73)
출판사의 지원도서이며 주관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