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콘트라바스 ㅣ 열린책들 파트리크 쥐스킨트 리뉴얼 시리즈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박종대 옮김, 함지은 북디자이너 / 열린책들 / 2020년 4월
평점 :

파트리크쥐스킨트 리뉴얼 시리즈 그 5번째 <콘트라바스>
그 동안 콘트라베이스로 알고 있었는데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콘트라베이스>는 사실 없는 말이라고 한다. 독일어권에서는 이 악기를 <콘트라바스>라 부르고 영어권에서는 <더블 베이스>라고 부르는데 바스라는 단어가 영어로는 베이스로 발음이 되는 점에서 혼동이 일어나 콘트라 베이스라는 정체 불명의 단어가 생겨났다고 하고 이 책에서는 원래 악기의 이름을 쓰기로 했다고 한다.
국립 오케스트라에서 콘트라바스 주자로 있는 주인공 남자의 독백으로 시작하는 초반을 읽을 무렵에는 살짝 당황을 했다.지금까지의 쥐스킨트의 책하고는 많이 다른 느낌적인 느낌으로 다가왔고 이제야 조금 알 것 같다고 생각한 작가가 다시금 한 발자국씩 나한테서 멀어지는 느낌이 들었다고나 할까
이 남자는 방음이 공을 들인 자신의 방에서 자신이 연주하는 콘트라바스와 맥주를 옆에 두고 이야기를 하다가 목이 타면 맥주를 마시기도 하고 자신의 방 창문을 열어 기가 막힌 방음상태를 확인시켜 주기도 하고 때로는 콘트라바스의 자태를 훑으며 성을 내기도 하고 짜증을 내기도 하고 과거를 회상하기도 하며 자신이 사랑한 메조소프라노인 여자 사라를 향한 짝사랑을 털어놓기도 하는 등 한편의 모노 드라마를 본 듯한 느낌이 드는데 처음에는 익숙하지 않아 당황하던 모습은 저리가고 지금 내 앞에서 나를 향해 이야기를 하는 듯한 묘한 이 남자의 말투에 헛웃음을 웃었다가 아 이 찌질한 남자라고 책을 툭툭 치기도 하면서 보게 된다.
요즘 같은 시국에 연극 관람은 힘들기도 할 뿐만 아니라 이 남자와 나하고의 사이에는 책이라는 거리의 세계가 존재하는 만큼 영상속의 세상을 보는 이 남자의 유튜브 영상, 이 남자의 라방을 한편 보는 느낌이었다고 하면 더 맞을까나
거의 콘트라바스에 자신의 꿈과 상처와 아픔과 고뇌를 담아 의인화가 된 이 남자는 콘트라바스를 증오하고 미워하고 애정하고 사랑한다. 애증에 애증을 담아 보내는 이 남자의 넋두리는 오케스트라 안에서의 빛나는 주연 뒤에 항상 그것들을 받쳐주는 조연과 배경이 되는 자신의 역할과 위치등에서 느끼는 소외감, 허탈감,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자리에 없으면 안되는 자신의 역할에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가 자신이 사랑하는 여자와 자신의 것이라 귀히 여기는 콘트라바스 앞에서 부리는 허세는 투덜이 스머프같이 투덜거리지만 그런 투덜거림이 귀엽기도 하고 짝사랑하는 여인을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실수를 연발하고 식은땀을 흘려가며 목이 타 맥주를 찾는 그의 모습은 헛웃음이 나기도 하며 방안 가득 습기를 머금고 가라앉은 분위기처럼 짠하기도 하다.
음악을 전혀 모르는, 그저 곡명은 잘 모르고 책 볼 때 가끔 듣기만 하는 클래식에 대한 내용이 자주 나오는데 내가 클래식을 알고 읽었더라면 지금의 느낌보다 더 풍성하고 충만함으로 읽었을수도 있을거 같은데 그러지 못함에 나의 음악에 대한 무지를 다시 한번 실감했다
우리네 인생이라고 머 별스러운게 있을까 하는 생각이 머리속을 스르륵 지나가는 것이 아마도 지극히 평범한 우리네 인생과 없으면 티가 나지만 있을 때는 존재감을 드러내지 않는 콘트라 바스 같은 우리의 인생이 비슷하다는 느낌이 들어서 일수도 있다
사랑하는 그녀에게 사랑을 고백하고 오케스트라 생활을 오늘은 접으리라 마음 먹으며 출근하는 그를 보며 묘하고 허한 웃음을 짓게 지으며 그를 응원하게 되는 것은 하루에도 열 두번씩 내가 이 일을 그만두고 만다 라며 마음속 깊이 사표를 품고 사는 내 모습이 슬라이드 처럼 지나가기 때문이리라
출판사 지원도서로 읽었으며 주관적으로 작성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