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아로 산다는 것 - 워킹푸어의 시대, 우리가 짓고 싶은 세계
박노자 지음 / 한겨레출판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의 삶을 돌아보며 미아의 삶을 사는 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한다는 작가는 물론 주거 공간인 집은 있다. 그가 말하는 미아는 집이란 그것보다 훨씬 넓은 의미를 가진 의미를 가진 단어로 우리가 속해 온 문화속에서 미아가 되어 살아가고 있는 우리의 삶에 물음표 하나를 던진다.


그 물음표가 때론 나에게 부끄러움을 주기도 하고 이건 아니지 않나 하는 울분을 자아내기도 하는 것이 그의 생각에 다 동의할 수 있는 건 아니었지만 줄 그어진 동그라미 안에서 그 안을 바라보는 시선과 동그라미 밖에서 그 안을 바라보는 시선의 차이는 분명 있음을 인정해야 하며 설령 그것이 우리의 아픈 곳을 드러내 상처에 소금을 뿌리듯 아프더라도 안으로 싸매 곪아 터지는 것보다는 낫지 않을까 싶다

 


러시아 상트페테부르크 태생으로 본명은 ‘블라디미르 티호노프’ 인 작가는 2001년도에 귀화하여 ‘박노자’ 라는 이름의 한국인이 되었고 그는 러시아에서 극동 사학과에서 조선사를 전공하고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고대 가야사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노르웨이 오슬로 대학교에서 한국학과 동아시아학을 가르치고 있다.


러시아에서 한국인으로의 귀화 .노르웨이에서의 삶. 탈로,탈남을 거치는 동안 그가 바라본 한국. 그의 삶의 특이한 이력으로도 짐작할 수 있듯이 그는 우리나라의 일반 국민들이 알고 있는 한국사보다 더 한국을 파고 연구하는 사람이기도 하다. 거기다 한국에서 나고 자란 이가 아니기 때문에 가질수 있는 객관성은 분명히 가지고 있다. 그의 시각은 단지 한사람만의 시각이 아니라 현재 한국에 살고 있는 많은 외국인들의 시각일수도 있고 우리나라 외에 다른 나라에서 보는 시각중에 하나일수도 있다라는 것은 상당한 긴장감을 느끼게 하고도 남는다


서열사회.과로사회,미래에 대한 불안사회가 주는 피로감.과도하게 번져가는 내로남불 남탓. 여성혐오.일상에 존재하는 많은 차별,여성의 사회적 지위로 인한 출산률 저하.(이런 반여성적 환경속에서 출산률 제로가 되지 않은 것이 신기할 정도라 말함) ,과거 술에 대해 관대한 나라들과의 한국과의 비교,전쟁의 남아 있는 상처. 코로나로 인한 전 세계적 대응책중에 한국의 대응력.모든 행정, 경제, 교육의 수도권 편중 현상, 영원한 숙제인 통일문제 ,탈학벌이 필요한 학벌위주의 사회와 그로 인한 폐해,청산되지 않은 과거로 인한 문제들 (세계적인 전쟁을 겪은 나라들의 전후 과거청산 노력 비교 분석), 심각한 위기에 드러나는 진실의 순간의 민낯 (IMF, 코로나등) .시대적인 악몽이나 트라우마인 일본과 한국 관계등 많은 문제들을 지적하고 분석한다 자본주의가 성장의 시대를 지나 그로 인한 폐해들로 시대적으로 마르크스주의가 곳곳에 다시 일어나고 있다는 내용은 다른 책에서도 봐서 그런지 그리 놀랍지는 않았지만 자본주의의 몰락에 대한 위험성은 여러 전문가가 지적하는 문제라 한다면 그가 제시한 많은 문제점들은 지극히 한국적인 문제들을 뺀다면 전 세계적인 문제일수도 있다라는 생각을 해본다

 

읽는 동안 불편한 기분이 들었던 건 아마도 익히 알고 있지만 감추고 싶은 치부를 적나라 하게 들킨 느낌이 들어서였을수도 있다. 나보다 나를 더 잘 아는 친구가 너는 말이지 하고 충고할때의 기분과 비슷한 느낌이었으니 말이다, 그가 제시한 문제점 대비해서 대안을 제시하지 않지만 그것은 앞으로의 미래를 향해 가는 우리의 숙제인 셈이다


사람의 생각 또한 개인마다 다르듯이 역사적인 배경이 다른 각각의 나라 또한 그 나라가 가지고 있는 특수성이라는 것은 분명 존재하기 나름이고 장단점도 존재 할것이며 분명 고쳐야 할 점이 있는 것 또한 자명한 사실이다. 현 우리나라의 문제점을 책 한권으로 접하고 있자니 토박이로 대한민국 국민으로 살아온 나보다 한국을 더 잘 알고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점은 놀랍다 못해 부끄러웠으며 간혹 동의하지 못하는 부분들 또한 욱하는 부분도 있었음이 맞지만 다른 시각 또한 있을 수 있음을, 내가 보지 못하는 다른면을 바라보는 시각을 인정하는 자세 또한 필요하지 않을까.


출판사 지원도서이며 주관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