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 동양고전으로 미래를 읽는다 9
일연 지음, 최호 옮김 / 홍신문화사 / 200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연스님이 삼국유사를 쓴 이유가 몽골의 침략에 결코 쉽게 무너질 수 없다는 믿음을 심어주고 우리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민족의 자존감을 일깨워주기 위해서라고 들었습니다. 우리 겨레의 처음을 열어준 단군신화부터 너무나 소중한 기록인 신라의 향가가 남아있는 유일한 책, 기존의 역사서가 놓친 소중한 이야기들을 남긴다는 뜻에서 역사 사史가 아닌 일 사事 였다는 사실, 그래서 삼국유사(遺事)의 그 기록들, 원문에 충실한 [삼국유사]을 다시한번 찬찬히 읽어보고 싶었습니다.

나라를 일으킨 시조의 특별함을 담은 기이편부터 삼국의 불교전파를 알 수 있는 흥법과 탑상,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의상, 원효스님 외에도 삼국시대 스님들의 수행과 불력을 전해주는 의해, 그리고 흥미있는 이야기가 담긴 신주 등 삼국유사라고 익히 알고 있던 이야기부터 조금은 낯선 이야기, 조선의 문신이었던 이계복이 후세에 전하고파 힘들게 이 책의 완본을 구했다는 취지를 남긴 발문까지 400여페이지의 풍부한 역사서, 삼국유사였습니다. 삼국 뿐 아니라 고조선과 그 주변국의 시조의 특별한 탄생을 들려주는 기이. 기이를 말하면서 어찌 특별하지 않을 수 있냐고 말하며 시작되는 우리 겨레의 처음을 여는 단군왕조, 고조선이야기는 익히 아는 이야기임에도 [고기]와 [위서] 등 각기 다르게 묘사됨을 보여주며 방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쓰여진 역사서임을 알게 합니다. 발해의 기록에 언급되는 저서의 수의 방대함을 통해서도 역시 알 수 있었구요.
삼국사기에 기재된 이름(박제상)과 다르지만 눌지왕의 형제들을 구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나서는 김제상 "신은 듣건대 임금이 근심을 하면 신하가 욕되고, 임금이 욕되면 신하는 죽어야 한다고 합니다. 만약 어렵고 쉬움을 논한 후에 행하면 불충이라 하고 죽고 사는 것을 헤아린 후에 움직이면 용기가 없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미해왕자를 탈출 시킨 후 왜왕의 회유에 "차라리 계림의 개.돼지가 될지언정 왜국의 신하는 되지 않겠으며 차라리 계림의 매를 맞을지언전 왜국의 벼슬과 녹은 받지 않겠소." 시간과 공간을 넘어 감동을 주는 그의 충심과 부인의 하염없는 기다림....전에 간절곶에서 본 부인과 아이들의 조각상이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지증왕이 왕비를 찾는 재밌고도 희한한 이야기, 29대 무열왕의 놀라운 식성(왕은 하루에 3말의 쌀밥과 수꿩 9마리를 먹었는데....^^),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의 주인공이었던 경문왕이야기, 효심 가득 이야기 등 신화와 설화의 보고라는 수식어답게 우리 역사를 풍요롭게 하는 많은 이야기가 담겨있습니다.
원전에 충실한 책이다 보니 불교용어나 한자 등은 어렵게 다가온 부분도 있지만 원전에 충실한 삼국유사를 읽어낸 뿌듯함과 우리 역사 속 이야기의 풍부한 실체도 더불어 읽게 되었습니다. 북유럽신화를 모티브로 판타지 문학이 꽃을 피웠듯 삼국유사에 담겨있는 우리 역사 속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또다른 문학꽃을 피울 수 있지 않을까 상상의 나래를 펴보기도 합니다.

육당 최남선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중에서 하나를 택하여야 될 경우를 가정한다면, 나는 서슴지 않고 후자를 택할 것”이라고까지 하였다고 합니다. 중국역사서의 틀에 맞춘 삼국사기를 쓴 유교학자, 김부식의 경직된 역사관과 달리 더 풍부하고 유연한 시각으로 표현된 삼국유사! 그래서인지 원문의 한자와 그 해설을 정직하게 한 이 책도 결코 어렵지만은 않게 읽혔습니다. 삼국유사는 근거가 없다고 해서 [삼국사기]에 실리지 못한 이야기들,,,, 우리 조상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오던, 생생함을 담고 있어 앞선 시대를 알고자 하는 우리에게 더없이 소중한 역사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사라질 뻔한 신라의 문학을 알 수 있는 향가 뿐 아니라 일연스님의 시도 만날 수 있어 더 특별한 역사서였습니다.
p.266 조신이 꿈에서 맛본 삶의 덧없음을 이야기하며..'.어찌 조신사의 꿈만 그러하겠는가? 모든 사람이 인간세상의 즐거움을 알아 기뻐하면서 애를 쓰지만 못하였을 뿐이다. 이에 노래를 지어서 경계한다.'

잠깐 뜻이 맞아 마음이 한가롭더니
은연중 근심 속에 젊던 얼굴 늙었네.
모름지기 다시는 부귀를 바라지 말아야 하니
바야흐로 괴로운 삶 하나의 꿈과 같음을 깨달았네.
수신(修身)하는 것은 성의의 여부에 달렸으니
홀아비가 미인을 꿈꾸고 도적이 장물을 꿈꾸었네.
어찌해야 가을이 와 청야(淸夜)의 꿈을 꾸나
때때로 눈을 감아 청량(淸凉)에 이르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