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립운동가, 청춘의 초상 - 조국의 독립에 바친 뜨거운 젊음, 한 장의 사진이 증언하는 찬란한 그 순간
장호철 지음 / 북피움 / 2025년 3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남긴 서평입니다 ※
우리가 얼굴을 기억하는 독립운동가는 몇 명이나 될까, 근현대 인물들의 사진은 적게나마 남아있고 특히 독립운동가들이 의열 투쟁을 하기 앞서 가족들 혹은 동지들과 함께 찍은 사진을 우리는 종종 보아왔다. 나이에 상관없이 많은 이들이 독립운동에 나섰지만 그들의 2,30대 청년기 모습은 또 얼마나 남아있을까. <독립운동가, 청춘의 초상>은 제목 그대로 독립운동가들의 청년 시절 사진을 찾아 보여주고 그들의 이야기를 함께 담았다.


요즘처럼 일상에서 마음만 먹으면 어디서나 사진을 찍고 그걸 갈무리할 수 있는 시대가 아니었다. 그렇다고는 해도 거친 해상도에다 낡아서 여기저기 구겨지고 흠집이 있는 사진 속의 독립운동가를 바라보는 마음은 먹먹하다. 일제의 감시 대상 인물 카드 속의 사진들은 그들이 감내해야 했던 감시와 탄압의 시간을 실증하고 있으니 더욱 그렇다. (본문 중 76p)
앳되고 해사한 얼굴 대신 어딘가 단호하고 조금은 서글퍼 보이기도 하는 표정은 그들이 겪어야 했던 녹록지 않은 역사적 상황과 스스로 마음먹은 어떠한 결단 때문일까. 책의 구성은 '1부. 돌아오지 못한 독립운동가들, 그 청춘의 초상' 과 '2부. 돌아온 독립운동가들, 그 청춘의 초상'으로 나뉘는데, 광복을 맞이한 조국으로의 귀환 여부로 인물들을 구분했다. 1부의 인물들은 사진 속 모습이 그들의 마지막 모습이거나 혹은 유일하게 남은 모습인 경우가 많아 마음이 먹먹했고, 2부에서의 인물들 중 몇몇은 '머리말'에서 저자가 이야기한 것처럼 우리에게 익숙한 중년 혹은 노년의 모습 대신 젊은 시절의 사진을 볼 수 있는 것이 새롭기도 했다.
대부분 어린 시절 학교에서 공부하며 독립운동가들의 이름과 얼굴을 익히게 된다. 어린 나이에 그들의 얼굴을 볼 때는 잘 느끼지 못했던 것 같은데, 사진 속 그들의 나이와 비슷하거나 그들의 나이를 지나버린 어른이 되어 다시 독립운동가들의 초상을 보니 그들의 젊음과 어린 모습이 더 눈에 들어오고 그래서 더 애잔해진다. 시험을 위해 배우는 독립운동은 그저 외울 것이 많아 힘들지 모르지만, 책을 통해 실제 독립운동가의 초상과 함께 한사람 한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것은 더 많은 것이 와닿는 느낌이다.
책에서 소개되는 독립운동가들의 이름에는 익숙한 이름도, 낯선 이름도 꽤 있었다. 안창호, 윤봉길, 김구, 김원봉, 윤동주, 유관순, 권기옥 등등 이름과 얼굴 모두 꽤 알려진 독립운동가의 이야기와 함께 김란사, 김알렉산드라, 주세죽, 정정화 등 상대적으로 덜 기록되어왔고 덜 알려졌던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이야기도 함께 읽을 수 있어 더욱 좋았던 책이다.
※ 출판사로부터 책만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남긴 서평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