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물리학자는 두뇌를 믿지 않는다 - 운, 재능, 그리고 한 가지 더 필요한 삶의 태도에 관한 이야기
브라이언 키팅 지음, 마크 에드워즈 그림, 이한음 옮김 / 다산초당 / 2024년 4월
평점 :
이 책은 리뷰들을 보면서 궁금해져서 읽게 됐는데요.
물리학자라는 제목 때문에 과학 도서일 거라 상상하게 됩니다.
하지만 리뷰들을 보면 전혀 물리학 이야기가 아니라고요.
그래서 읽어보니 정말 물리학에 대한 설명은 조금밖에 없습니다.
거의 없다고 보면 돼요.
이 책의 저자는 물리학자인데요.
노벨물리학상을 받지는 못했어요.
하지만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9명을 인터뷰하면서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한 게 이 책입니다.
하지만 주제는 노벨물리학상을 박은 학자들의 삶의 태도에 맞춰져 있어요.
그래서 일반인들도 배우고 적용해 볼 수 있게 저자가 중간중간 정리도 해줍니다.
제가 다 읽고 느낀 것은 보통 자기 계발서와는 다르다는 거예요.
성공, 부자들이 '나는 이렇게 했더니 성공했다!'라는 이야기는 왠지 거부감이 들잖아요.
이 책에서는 이렇게 천재적인 지능을 가진 학자들도 결국은 실패, 시련을 겪는 일반인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딱히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고 대단히 삶이 바뀌는 학자도 없고요.
그래서 더욱 신뢰가 가더라고요. 배우고 싶기도 하고요.
자기 계발서가 읽기 어렵다면 이 책을 한 번 읽어보세요.
결국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배우게 됩니다.
노벨물리학상을 탄 학자들에게서 영감을 얻어 더 나은 삶을 살아보라는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노벨상이라고 하면 왠지 연구만 하는 고리타분한 학자를 떠올리게 되는데요. 천재라는 이미지도 있고요.
이 책의 부제도 운, 재능, 그리고 한 가지 더 필요한 삶의 태도에 관한 이야기거든요.
운, 재능에서 나랑 다르다는 느낌이 강하잖아요.
읽어보면 노벨상 받은 사람도 나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그거 아시나요?
물리학자들은 실패가 기본값입니다.
무수한 실패 속에서 단 한 번 성공하는 거죠.
그리고 또다시 다른 연구를 하고 무수한 실패를 겪고요.
뚝딱 논문이 통과되고 인정되는 게 아닙니다.
그래서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학자들에게서 실패를 대하는 태도를 배울 수도 있어요.
실패를 실패라고 보지 않는 거예요.
성공으로 가기 위한 조건인 것입니다.
나아가도 원했던 결과를 얻지 못할 수 있지만 멈췄을 때 실패는 확실해진다.
너무 일찍 포기하는 사람은 절대로 알 수 없는 확고한 지식을 얻게 한다.
즉, 무엇이 왜 불가능한지 알게 되는 것이다.
성장하고 싶다면 실패에서도 배우고 다시 도전해야겠지요.
무수한 실패를 딛고도 좌절하지 않고 연구를 하는 물리학자들처럼요.
이 책을 읽지 않았다면 몰랐을 거예요.
물리학자들이 실패를 그렇게 많이 하는지 말이죠.
생각해 보면 나는 몇 번의 실패만으로도 포기했는데 꾸준히 한다는 것을 쉽게 봤어요.
자주 포기하는 사람이 이 책을 읽으면 동기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
포기란 배추 샐 때 쓰는 거란 말처럼 집요하게 도전하는 사람은 결국 성공할 수밖에 없구나 느낍니다.
100억 부자, 자산가, 자기 계발 강사의 책보다 훨씬 공감이 많이 된 이유는 그 사람들 보다 더 많은 실패를 겪고도 도전하는 정신 때문이건 같아요.
운은 결국 노력하는 사람에게 찾아온다고 하는데 딱 책 속 인물들을 두고 하는 말이더라고요.
물리학자에게서 삶의 태도를 배울 수 있다니...!
새로운 경험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