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속의 먼지 웅진 모두의 그림책 60
이진희 지음 / 웅진주니어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속의 먼지(이진희 그림책/웅진주니어)



 

숲속의 먼지?

 

예쁜 파스텔톤의 표지 그림에

숲속 먼지로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지

궁금함을 가득하게 합니다.

 

작고 작은 숲속 마을에서 먼지가 태어납니다.

먼지는 왜 태어났는지 아무도 모릅니다.

 

작은 먼지는 자신을 숨기며

가만히 기다립니다.

 

그러다가 슬슬 용기를 내어

움직여 봅니다.

 

그때 얼룩덜룩이 세 마리

먼지를 만나는데

뜻하지 않은 위험에 처합니다.

 

그때

먼지는 아기 고양이를

만나게 됩니다.

 

먼지를 지키는 아기 고양이...

 

이제 둘에게

어떤 일이 펼쳐질까요?

 

이 이야기를 처음 떠올렸을 때,

먼지가 다른 세상으로 떠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종종 생각했습니다.

떠오른 생각 하나는 먼지는 왜 친구와 함께 떠날 생각은 하지 않았을까?’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용기를 내는 데는 친구만큼 힘이 되는 존재도 없는데요.

지금쯤 두 친구는 함께 여행을 떠났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숲속의 먼지들이 부디 좋은 곳에 내려앉아 누군가의 흐뭇한 미소를 바라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작가 이진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곤을동이 있어요 알맹이 그림책 71
오시은 지음, 전명진 그림 / 바람의아이들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곤을동이 있어요」 (오시은 글 / 전명진 그림/바람의아이들)




소녀의 모습

소녀의 손에는 동백꽃이 있습니다. 

무슨 내용일까요?

그림책 표지를 보면서

어떤 이야기일지 궁금했습니다.  


곤을동이 무엇일까요?

이 그림책을 통해

곤을동의 진실을,

제주도에 대해

또 하나의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이끼가 낀 그대로...

하지만 그곳에는

마을이 있었습니다.

모두 사라졌지만

모든 것이 생각납니다.


아낙은 애기구덕을 흔들며 자장가를 불렀고

바닷가에 고기잡이 어부들의

얼굴엔 웃음이 피었습니다.


고문이 마을을 덮치던 날...


땅을 울리는 군홧발

집에서 끌려나온 사람들...

탕 탕

동백꽃 봉오리가

바닥으로 떨어졌습니다.


1947년부터 1954년까지 제주도에서 벌어진

무장대와 토벌대의 무력 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1948년 4월 3일.

제주 4.3은

3만여 명의 민간인이 국가 폭력으로

희생당한 역사가 되어 버렸습니다.

곤을동은

제주시 화북일동에 위치한 해안가 마을입니다.

아름다웠던 곤을동은

4.3 당시 곤을동은

해안가 마을 중 유일하게

초호화 작전으로 사라진 마을입니다.


[이 이야기는요...] 

너무나 예쁜 마을이 처참한 모습으로 남겨진 걸 보고 시작하게 되었어요.

한때는 그 어느 곳보다 따스했을 곤을동, 거기 살았던 사람들의 모습을 떠올리며 평범했던 삶을 담아내고 싶었어요. 삶과 죽음이 너무 가까이 달라붙어 있던 그때의 이야기도 전하고 싶었고요.

자장가, 멸치잡이, 연자방아 노랫말은 제주에서 전해지는 노랫말을 각색했어요. 바람 같은 제주의 언어가 여러분의 마음에도 가닿길 바랍니다. 동백꽃처럼 스러진 이들의 아픔도요.



이 책의 제목은 “있어요,”로 끝난다.

그곳, 곤을동에는 바람과 자장가와 따듯한 저녁밥이, 사람들이 있었다.

책을 펼치면 동백꽃잎처럼 선연한 글과 그림이 독자의 손목을 붙잡고 묻는다.

“그런데 그들은 있지 않나요?”라고

아픈 역사는 감추기 어렵다.

기어코 이렇게 투명한 그림책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를 사랑하는 사람에게 사라진 곤을동을 되찾아주고

제주를 더욱 싶이 사랑하게 만드는 그림책이다.


-김지은(아등문학평론가, 서울예대 교수) 추천사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느티나무 언덕에 비가 내리면
허구 지음 / 한울림어린이(한울림)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느티나무 언덕에 비가 내리면(허구 지음/한울림어린이)

 

언덕에 커다란 느티나무가 있습니다.

 

파릇파릇

살랑살랑

글자로 표현된 그림은

살아 움직이는 듯 생동감을 줍니다.

 

보슬보슬

간질간질

비가 내리기 시작하니

언덕에서 뛰어놀던 친구들이

느티나무 품으로 모두 모여듭니다.

 

기다려도 비가 그치지 않습니다.

오히려 점점 더 굵어지는 빗줄기...

 

오돌오돌 추워지는 날씨에

어둠이 몰려오고

번개와 천둥까지...

 

휘이잉 휘이이잉

바람마저 거세게 몰아칩니다.

느티나무 할아범은 겁먹은 친구들을 지켜 주려고

힘껏 가지를 펼칩니다.

 

그런데 바로 그때

시커먼 늑대가 걸어옵니다.

이를 어쩌죠?

모두 놀라서

느티나무 할아버지한테

늑대를 쫓아 달라고 말합니다.

 

과연 할아버지는 늑대를 쫓아 주실까요?

늑대는 언덕 친구들을 잡아 먹었을까요?

 

이후 이야기를 꼭 한 번 확인해 보세요^^

 

그림 속 깨알 같은 무수한 글자들이 읽는 재미를 더합니다.

어떤 글자들이 숨어 있는지

이야기와 함께 어떤 글자들이 쏟아져 나오는지

글자를 찾으며 그림을 감상해 보면

그림책 이야기 속으로 더 푹 빠질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멸치 다듬기
이상교 지음, 밤코 그림 / 문학동네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멸치 다듬기(이상교 글/ 밤코 그림/ 문학동네)



 

이상교 작가의 동시집 <찰방찰방 밤을 건너>에 실린 작품

멸치 다듬기가 그림책으로 탄생했습니다.

 

표지부터 남다릅니다.

신문 기사로 멸치 다듬기가 실렸습니다.

 

집중 취재

302호 사람들 멸치를 다듬어 어디에 썼나

- 김멸치 기자

 

어쩌고 저쩌고 그랬다고 한다.

 

멸치를 다듬으면서 어떤 일이 펼쳐질까요?


 

대가리 떼고 똥 빼고

대가리 떼고 똥 빼고

멸치 가득 멸치 다듬는 시간

 

멸치들이 신문지에 누워

차례를 기다립니다.



 

페이지마다

신문지에는 온통 멸치 기사로 가득합니다.

신문 기사를 읽는 것만으로

재미있는 상상의 나라로 안내합니다.

 



아버지와 아들의 멸치 다듬기는 계속됩니다.

 

다듬은 멸치로 뭘 할까요?

 

온 가족의 즐거운 시간으로 흐뭇한 미소를 짓습니다.

 

너는 지금 마른 멸치가 되었지만 나는 바닷물 속 헤엄치는 널 상상해.

물속으로 들이비친 빛살 같았겠지? 빛살이 춤을 추는 듯했겠지?

눈 땡그란 멸치야, 미안해. 대가리라고 하고 똥 얘기 꺼내 또 미안해.

이다음 언젠가는 은비늘 반짝이며 날렵하게 헤엄치는 네가 보고 싶어!”

- 이상교

 

이 책을 만들면서 아파트 화단에서 밝은 밤색 고양이를 만났어요.

멸치를 그릴 때면 조그만 털 손이 불쑥 종이 위를 덮치곤 했지요.

밤낮으로 마음을 다듬어 완벽한 멸치를 백만 마리나 그렸는데요.

고만고만 몇 마리밖에 책에 담지 못한 건 다 우솜이 때문이랍니다.”

- 밤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꽃들의 속삭임 라임 그림 동화 37
데나 세이퍼링 지음, 이계순 옮김 / 라임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꽃들의 속삭임(데나 세이퍼링 글그림/이계순 옮김/라임)

 



연필 선으로 섬세하게 그려진

꽃들과 아기 벌...

꽃들과 벌에게 어떤 일이 일어난 것일까요?

 

그림책은

풀밭”, “꽃말”, “여행”, “호박벌

네 부분으로 나뉘어집니다.

 

꽃밭에는 신비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꽃밭은 처음부터 꽃들이 활짝 피어있지는 않았습니다.

 

풀밭에 선물이 하나 도착합니다.

바로 아기 호박벌입니다.

 

꽃들은 아기 호박벌을 다정하게 맞이하고

베아트리체라는 이름도 지어 줍니다.

꽃들은 아기 호박벌을 잘 돌봐 줍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꽃들은

베아트리체에게 자신들을 말을 가르쳐줍니다.

베아트리체는 꽃말로

꽃들에게 다정한 인사를 전합니다.

베아트리체의 다정한 말은

꽃들을 행복하게 합니다.

 

이제 풀밭은 꽃들로 가득합니다.

베아트리체 혼자서

꽃들에게 꽃말을 다 전하기 어려워졌습니다.

 

베아트리체는 많은 꽃들에게

어떻게 꽃말을 전할 수 있을까요?

 

꽃들에게 찾아온 베아트리체는

꽃들을 더 빛나게 해줍니다.

 

풀밭에 이름 모를 꽃들도 저마다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하지만 누군가 말해 주기 전까지는 알지 못하지요.”

 

[뒷면지]


사람들은 오래전부터 꽃마다 의미를 담고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직접 말하기 어려운 마음을 꽃으로 전달하곤 했지요.

꽃이 품고 있는 의미를 꽃말이라고 해요.

 

이 책에 나온 꽃의 이름과 꽃말을 소개할게요.

 

책에서 이꽃들을 찾을 수 있나요?

이 중에 여러분의 동네에 사는 꽃이 있는지 찾아보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