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센의 읽기 혁명 - 세계 최고의 언어학자가 들려주는 언어 학습의 지름길
스티븐 크라센 지음, 조경숙 옮김 / 르네상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커뮤니케이션, 언어, 읽기

우리는 언어를 어떻게 습득하는가?
호율적인 외국어 습득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모국어의 향상과 외국어 습득 방법을 크라센은 명쾌하게 말한다.

˝읽기는 언어를 배우는 최상의 방법은 이니다. 그것은 유일한 방법이다.˝

‘공부‘하지 않아도 언어 실력이 저절로 느는 자발적 읽기의 실제와 적용방법을 이야기하고 있다.

수많은 책에서 독서할 때 ˝무엇을 읽을 것인가?˝, ˝어떻게 읽은 것인가?˝하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크라센은 흥미를 느끼는 텍스트라면 그것이 만화이거나 하이틴 로맨스나 잡지라도 좋다고 한다.
더 중요한 것은 다양한 읽을 거리에 노출되는가 하는 것이다.

독서는 재미를 느끼는 것에 가벼운 읽기로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에 공감한다. 또한 외국어 습득에 한 방법으로 해당 언어로된 책 읽기를 해보고 있는 나로서는 여려 연구사례의 과학적 결과가 흥미로웠다.

학교라는 교육시스템 안에는 수많은 개인의 학습실패를 구제할 방법과 기회가 존재하지 않는다. 오직 점수로 평가하고 순위로줄을 세울 뿐이다.

경제적 빈곤의 차이와 환경적 불평등을 극복하는 방안에 하나는학생들의 읽기 능력개발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너무 나간거 같다.

˝외국어 배울 때 입력이 부족하거나 비웃음 당하거나 부끄러워하는 사람들을 위한 해결책은 자발적 책읽기다˝라는 구절에 위로를 받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지능의 역설 - 우리가 몰랐던 지능의 사생활
가나자와 사토시 지음, 김준 옮김 / 데이원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능이나 지능이 높은 사람에 대해 예전과는 완전히 다른 견해를 가지게 되었다.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지능에 대한 개념과 일상에서 지능이 높은 사람들에 여러 특징들을 설명하고 있다.

지능이 높은 사람일 수록 정치적으로는 진보적이며 신의 존재를 믿지 않는다.
저녁형 인간이나 동성애자가 되기 싶고, 노래를 동반하는 음악보다는 단순한 악기로만 연주되는 클래식 음악을 좋아한다.
또 술을 마시고 담배를 피우고 약물을 사용한다. 그래서 과음하기 쉽고 주정도 많이 부리는 것이다.

저자는 질문한다 그래서 지능이 높은 사람이 휼륭한 것일까?

우리는 똑똑한 사람에 대한 막연한 동경과 강박을 가지고 있지는 않은가 생각해 본다.

태어나 성장하고 교육 받고 사회에 진출해서도 끝없는 ‘경쟁’에서 생존 해야 하는 사회적 환경이 우리에게 무의식적으로 좀 더 똑똑해야 한다는 강박을 만들어 내지는 않을까?

그동안 ‘지능’과 ‘재능’의 키워드로 관련 도서를 여러권 사두고 읽지 못하고 있었는데 이 책을 읽고 진화심리학의 범주에서 접근해 보고 싶다.

책을 읽고 새로운 관점을 갖게되는 것이 독서에 가장 큰 소득 중에 하나가 아닌가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긍정의 배신 - 긍정적 사고는 어떻게 우리의 발등을 찍는가 바버라 에런라이크의 배신 시리즈
바버라 에런라이크 지음, 전미영 옮김 / 부키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돈벌이가 안 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말하는 니힐리즘

어째서 시대의 지식은 우리를 니힐리즘에 빠트리기 쉬운 것일까. 이를테면 현대의 자본주의적인 지식에서는 경제적 유용성에 합당하다면 가치가 높은 것으로 여긴다. 다음으로 가치를 부여하는 것은 사회적 유용성이다. 가치의 히에라르키Hierarchie(피라미드 꼴의 계급 지배 제도. 상하 관계가 엄한 조직이나 질서를 가르키는 독일어)에서는 경제성이 늘 우선시된다.
이처럼 가치에 등급을 매기는 상황은 간단히 니힐리즘을 만든다. 말하자면 경제성과 관계없는 사고방식이나 행동에서는 가치를 찾아낼 수 없다. 현실 앞에서 돈벌이로 연결되지 않는 행동이나 생각은 무가치한 것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자본주의적인 지식에 지배되고 있는 현대뿐만 아니라 기독교주의적인 지대나 장소에서도 그런 이유로 니힐니즘이 생겨난다.
<지성만이 무기다, 사라토리 하루히코, pp.77~78>

‘긍정‘의 지식은 사회적 유용성에서 그 가치를 부여받고, 이를 통해 니힐리즘을 만들어 낸다고 할 수 있을까?

˝긍정‘에 대한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의 에피스테메(시대의 공통지)적 시각과 이테올르기 관점에서의 설명과 접근은 어떤 차이와 공통점을 가지고 있을까?

긍정에 대한 강박적 집착과 판단 가치가 사회적으로 만연한 시대에 어떻게 흔들리지 않고 중심을 잡을 수 있을까?

책과 책을 연결해서 읽어보면 저자의 서로다른 내용과 관점이지만 각각의 주장에 적용해 볼 수 있어 재미가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사회의 지배적 이데올르기는 우리 삶의 다양한 측면에서 영향력을 행사한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그 영향력에 지배받아 생각과 행위를 하고 있으나 인식은 선명하게 되지 않는다. 한발 더 나아가 이데올르기가 사회구조와 결합되어 작동할 때 한 개인은 무기력 해진다. 빈곤과 빈부격차, 보이지 않는 사회적 계층과 계급 신앙과 자유의지 등에 문제를 개인 대 국가 차원에서의 살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손쉬운 해결책 - 자기계발 심리학은 왜 당신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가
제시 싱걸 지음, 신해경 옮김 / 메멘토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비판적사고를 가지고 자기개발 분야의 책들을 바라볼 수 있게 하는 탁월한 저서 입니다. <긍정의 배신>과 같이 읽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