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파일럿 피쉬
오오사키 요시오 지음, 김해용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은, 한번 만난 사람과는 두 번 다시 헤어질 수 없다.
사람에게는 기억이라는 능력이 있고, 좋든 싫든 그에 대한 기억과 함께 현재를 살아가기 때문이다.
사람의 몸 어딘가에는 그 모든 기억을 저장해 놓는 거대한 호수 같은 장소가 있어서,
그 바닥에는 잊어버렸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무수한 과거가 가라앉아 있다.
그리고 무언가를 떠올리고, 무언가를 시작하려 할 때, 아무 생각 없이 눈을 뜬 아침,
아주 먼 옛날 잊어버렸던 기억이 그 호수의 바닥에서 불현듯 둥실 떠오르는 때가 있다.
파일럿 피쉬--오사키 요시오

이 구절 하나로 읽고 싶다는 생각이 마구마구 든 '파일럿 피쉬'

어떤 리뷰에서 그랬던 것 같다.
라디오를 듣다가 이 구절이 나왔는데,
도대체 어떤 책일까 계속해서 찾아다니다
결국 이 소설을 만났다고.
그만큼 마음에 직격탄을 놓았던 구절이랄까..

하지만 지금 내 머릿속에서 둥둥 떠다니는 건
주인공의 친구인 모리모토가 말했던 '꼬리가 잘린 개' 이야기이다.
남자 주인공인 야마자키가 끝에 그 장면을 되뇌이던 것이
여기서 그게 왜 생각이 났을까..?
라고 의아해했는데

며칠 전 문득 잠에서 깨었는데 그 구절이 계속 생각나버렸다.
지금은 이렇게 잊었지만
갑작스레 내 눈앞에 나타난다거나 연락이 된다거나
해서 그 시절의 감정이 새록새록 나타나
'너는 역시 내 인생의 파일럿 피쉬같은 존재였다고.
역시나 나는 너를 놓치지 않을 것이며 다시 시작할거라고'
이 지랄을 떨지는 않을까?
'문뜩 떠오른 기억이
잊었다고 생각했던 기억이
사실은 잠시 가라 앉아 있었다고,
잠시 잊었였지만 역시 잊을 수 없어.'
라고 말이다..
[아마도 않겠지만 시간이라는 것이 또
사람을 변하게 만드니까 알 수가 없다]

하지만 그건 이미 개의 잘려버린 꼬리부분일지도 모른다고.
그런 생각이 들었다.


기억은 사라지지 않지만, 기억은 기억일 뿐.
그것은 이미 과거로써 끝나는거라고.
되돌릴수는 없는거라고 작가는 말해주고 싶었던 것 같다.

누군가 어느 한 순간에는 나에게 있어 '파일럿 피쉬'같은 존재였지만,
이미 잘려버린 꼬리를 아직도 그 자리에 있는것 처럼 닿기위해 빙빙 도는 모습속에서

그것은 기억속에서.이미 과거속에서일 뿐이라고.
인연이라는 것이 끝이 아닐지라도
그 시절이 되돌아 오지는 않는다고.

아마도 그건 우리가 흔히 말하는 '미련'이란 것이리라. 

------
그런데 솔직히 남자주인공은 너무 갑갑스런 존재랄까..
첨엔 주인공이 여잔 줄 알았다..
주인공이 저런 구절을 되뇌이는 자체가 뭔가 여성스러워서.
근데 읽다보니 남자주인공이네-_-
여자 주인공이라 생각하고 읽었는데
옛 연인이라고 전화온게 또 여자고..
어..이 소설 머야-_-? 하고
내용이 내 머릿속에서 뒤죽박죽 안드로메다로 가고 있었는데 읽다보니
이거 남자 주인공이야..

난 이런 인간들이 조금 취향(?)이긴 하지만,
그건 역시나 난 여자주인공처럼 한 번 사다리를 올라가 버리면
뒤돌아보지 않고 전진하는 성격이라 그럴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역시나 만나보면 우유부단하고 꿈도 없고,의지가 약하고..
첨엔 돌봐주고싶어~라지만 몇 달 만나보면
한마디로 때려 죽이고 싶다고 해야하나
이걸 확 그냥 갈아마시고 싶다고 해야하나..-_-ㅗ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
알랭 드 보통 지음, 지주형 옮김 / 생각의나무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난 어렵게 쓴 글을 좋아하지 않는다.

예전엔,

그것도 학창시절에는 뭔가 사색하며 친구에게 글을 쓰거나

혼자 일기를 쓴다거나 할 때

이런 어려운 글귀로 하루하루를, 그리고 나를 표현하곤 했지만

지금은 편한게 좋다.

철학이라고 꼭 어려울 이유는 없지 않은가-_-

이 책이 어렵다는게 아니라

이 문체가 난 불편하다.

좋은 글이란건

상상력을 부여해주는 것.

생각하게 만드는 것.

그 문장을 읽는 것 만으로도 머릿속에서 저절로 영상이 그려지는 거라고

이 책은 읽으면 무언가 떠오르지 않는다고나 할까..

그리고 중간중간 괄호안에 뭐라고 써놓은 것도 아주 거슬린다고나 할까..-_-

생각은 한다.

이글을 읽으면 그 생각이라는게 법전을 읽는 것 처럼 뭐라고 꼬아서 쓴거야..하는 생각-_-;;

내가 머리가 나쁜건지 이 문체가 어려운건지 나도 잘 모르겠다.

내용을 모르겠다는 말이 아니다.

읽으면 내용은 무슨 내용인지는 안다.한글인걸..-_-;;;

하지만 이 문체가 너무 불편하다.

나에게 이책은..거 머냐..일본의 천재작가 히라노 게이치로의 '일식'을 읽는듯한 .

이 책도 읽다 덮어버렸다-_-

그런 느낌이라고나 할까..여튼 난 그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악인 오늘의 일본문학 6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세상에 일어난 모든 죄들에-누가 피해자이고 가해자일까?


그리고 인간의 추악한 면모를 드러내는 책이랄까..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고 저지르는 모든 만행을 적어놓은 책.


이 소설에서 써내려간 대부분은
요즘 사람들의 평범한 일상,대화거리들중 하나일것이다.
그저 상대를 웃음거리로 만들어버리는 일상의 화재 중 하나.
행동할때에는 잘 모르지만
이렇게 글을 읽어나감으로써 우리가 얼마나 추악하고 잔인하다는걸 느끼게 되는

그런 소설.


그리고 나를 뒤돌아보게 만드는 소설.


나도 마찬가지 일테지만

누군가를 얘기하면서 비웃은적은 없는지

상대방은 진심이었을 상황을 그저 비웃고,

친구들과 화재로 삼아버린적은 없는지.

만약 그게 나였다면 기분이 어땠을지.

나의 진심이 그들에겐 한낮 웃음거리로 밖에 생각되지 않았을 때

얼마나 비참해지는지.얼마나 잔혹한 짓인지

한 번 쯤은 생각해 봐야할 소설.

 

누가 악인이고 선인이고를 떠나서

요시다 슈이치는 아마도 이런걸 전해주고 싶었으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자는 두 번 떠난다
요시다 슈이치 지음, 민경욱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8년 8월
평점 :
절판


두 가지 성향이란게 지금까지 내가 읽어 온 요시다 슈이치 소설의 공통점은

덤덤하다. 군더더기 없는 묘사와 함께 아주 잘 읽힌다.

글을 읽으면 마구마구 그 장면들이 머릿속에서 지나간다.

하지만 그렇게 덤덤하게 끝나는 소설이 있는가 하면

아주 심하게 뒤통수 때리고 내 마음에 비수를 콕 찌르고 하루종일 멍때리게 만드는 소설이 있다.

첨에 접한게 7월 24일 거리.

요시다 슈이치가 누군지도 모르고

아마 오쿠다 히데오책인 줄 알고 샀지싶다;;

그때 한참 공중그네를 보고 있었으니 나름 재밌게 봤더랬지.

밍숭맹숭 덤덤하게 읽다가 '머냐 이 소설은.. 오쿠다 히데오꺼 맞아?'

-_-;;하고 있었는데 알고보니 요시다 슈이치.

싫다는 건 아니고 느낌이 너무 틀려서 깜짝 놀랐는데 알고보니 다른 작가의 책;;

썩 맘에 들진 않았지만 어쩌다보니 또 요시다 슈이치의 책을 사버리고 말았으니

그게 바로 '퍼레이드'

읽어 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그냥 그저그렇게 재미있고 가볍게 읽고있다가

제대로 뒤통수 때리고 제멋대로 끝나버리고는 날 공황상태로 몰아넣었지

그 이후로 마구마구 버닝해서 다 사버렸다.

재수좋게도 '악인'은 이벤트 당첨도 되었고-_-v-이거 정말 최고임.

난 아무래도 이 작가님의 독자 공황상태 만들기를 즐기는 듯 하다.

 

신간이라 기대하고 읽긴 읽었는데 나의 기대에는 못미치는,

하지만 여러편의 단편들로 모아 쉽게 읽기에는 좋았던.

여자의 입장이 아니라 남자의 입장에서 보는것 같아서인지

여러 사람들이 말하는 남자의 찌질함이란걸 난 잘 느끼지 못한달까?

그냥 읽으면서 음..그래 남자란 원래 이렇지..그런거지..하고 공감은 하면서

찌질하다고 생각하지 못한 건 남자들이란 원래 그런거라고 각인되어 있는듯 하다.

...난 대체 어떤 남자들을 만나거냐-_-;;;

찌질한게 아니라 영화가 아닌 이상 현실엔 넘쳐나는 평범한 남자들의 이야기가 아닐까?

본능에 충실하다가도 제 앞가림 하나 하기 힘든 요즘 세상에

곤란한 일이 닥치면 도망가고 싶은게 보통의 남자들 맘이니 말이다.

능력이 된다면야 그렇지 않겠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