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째 인류 - 죽음을 뛰어넘은 디지털 클론의 시대
한스 블록.모리츠 리제비크 지음, 강민경 옮김 / 흐름출판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전 tvN을 통해 드라마 전원일기 응삼이역의 故박윤배님과 재회한 전원일기 식구들을 본 기억이 있다.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AI의 모습에 몰입감을 느끼며 참으로 신기하다 생각하면서도 눈물을 훔치며 영상을 봤더랬다. 기술문명이 참 많이 발전했음을 실감하며 컴퓨터 안에서 영원히 존재하는 영혼을 만들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았다는 이 책「두번째 인류 」에 호기심이 생겨 읽기 시작했다. 


 세계 다큐멘터리 영화계에 혜성같이 나타난 신예 감독이신 두분의 저자님은 독일인으로 직접 디지털 클론이 되거나 디지털 클론을 만든 사람, 인간의 뇌와 영혼을 디지털 세상에 옮겨 놓으려는 사람들을 직접 만나서 디지털 클론의 가능성을 탐구하며 인간과 사회에 대한 우리의 생각이 디지털 시대에 어떻게 바뀔지 질문을 던지고자 이 책을 집필하셨다고 한다. 


 이 책은 사람이 죽고 난 다음에도 내면만은 계속 살려두려는 개발자들, 사랑하는 사람을 버추얼 도플갱어 즉 디지털 복제인간(클론)으로 부활시키려는 사람들을 인터뷰한 내용의 책이다. 다큐멘터리 영화감독이신 두분의 저자님 존재의 유한성에 몰두하며 몇 개월 동안 조사할 주제로 '불멸'을 고르셨다고 한다. 영혼이라는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고 죽음 이후의 삶이라는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불멸은 살아있는 유가족과 친구들을 위한 것이라며 불멸의 시대는 우리에게 서서히 다가오고 있다고 말씀하신다.


 불멸을 제공한다는 기술 기업 이터나임(Eternime,영원한 나)의 뿌리는 발명가 정신으로 유명한 MIT가 계획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있음을 알게된 두분의 저자님은 제일 먼저 이터나임의 창립자 마리우스 우르자헤(Marius Ursache)가 계시는 루마니아로 인터뷰를 떠난다. 이터나임의 기반은 인간의 뇌를 모방한 인공신경망과 한 사람을 그대로 재현해내기 위해 인공신경망에 저장되는 인간이 남기는 디지털 발자국 즉 어마어마한 양의 데이터라고 한다. 마치 드라마 <블랙미러>의 에피소드처럼 어떤 사람이 죽으면 저장된 데이터로 만들어진 아바타가 그 사람과 똑같이 말하고, 생각하고, 행동한다고 한다. 그리고 가장 친한 친구 로카를 잃은 마리우스, 아버지의 죽음을 지켜보며 아버지 존의 디지털 클론 대드봇(Dadbot)을 만들기 위해 몰두한 미국 캘리포니아의 제임스 블라호스, 교통사고로 가장 친한 친구를 잃고 로만 챗봇 '고로만(Go Roman)을 만들려는 샌프란시스코의 유지니아, 어렸을때 아버지를 잃은 포르투갈의 엔히크 등을 인터뷰하시며 디지털 클론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나가신다. 두분의 저자님이 인터뷰했던 사람들은 모두가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사람을 잃은 경험이 있는데 그래서인지 이 책은 나에게 슬픔을 기술로 이겨내려는 사람들의 이야기, 누군가를 잃은 슬픔과 그 사람과의 추억을 디지털로 승화시켜 추억을 영원한 것으로 만드는 혁신을 일으키고자 한 사람들의 이야기로 다가왔다. 생물학적인 죽음을 디지털 세상의 삶으로 전환한다는 아이디어는 참 신선하지만 또 두렵기도 하다는 생각이 든다. 



난 내 삶에 관한 이야기를 스스로 결정하고 싶어. 내가 내 삶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를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증거가 결정하도록 두고 싶지 않아. 나는 내가 잘못 기억하도록 그냥 두고 싶어. 다 괜찮다는 착각 속에 살고 싶어. 



 엊그제 상반기 인사고과를 하면서 라인 매니저로부터 들을 피드백 때문인지 가장 마음에 훅 들어왔던 문장이다. 자기 자신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측정하면서 나 자신이 생각하는 '나'보다 평가자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더 나은 사람이 되도록 행동을 바꾸고 역량 강화와 성숙에 힘쓰라는 피드백 내용이었는데 왜 스스로를 감시하고 평가하며 살아야 하나, 내가 하는 모든 말과 행동을 왜 다 평가하며 나 자신의 상태를 측정하며 살아야 하나,  자기 인식을 통해 꼭 발전하는 인간이 되어야 하나, 그냥 좀 나는 나대로 LET IT BE하면 안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2013년 2월 공개된 SF드라마 <블랙미러>의 '돌아올게'의 에피소드처럼 기술 덕분에 죽은 사람을 컴퓨터 모니터나 스마트폰에 되돌아오게 만든 다음 실제로 되살릴 수 있게된다는 흥미진진한 상상이 십년이 지난 지금은 더이상 영화나 드라마가 아니라 현실이 되었다. 죽은 사람들을 디지털 세상에서 되살리려고 노력하는 이터나임 같은 회사 이야기, 스파이크 존스 감독의 2013년 영화 <그녀>의 테오도르의 OS 원 '사만다'를 비롯하여, 젊은 여성의 모습을 한 안드로이드 로봇 에리카, 어린아이와 비슷한 안드로이드 로봇 텔레노이드, 소년형 로봇 이부키, 챗봇 앱 레플리카(Replika), 워봇(Woebot), 리어보이스(LeaVoice) 등 모두 더이상 SF영화속 이야기만은 아니라고 생각하니 더 흥미로웠다. 


 디지털 불멸성에 관한 정보를 찾아나선 두분의 저자님의 인터뷰를 통해 인류의 미래가 어떻게 될지 함께 탐험하며 우리에게 어떤 미래가 놓여있는지 지금과 같은 기술 맹신이 우리를 어디로 이끄는지 생각해보는 흥미로운 시간이었다. 글밥도 많고 완독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렸지만 인간과 고기능기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다양한 방식으로 보여주는 인터뷰 형식의 이야기에 어느새 매료됨을 느끼며 재미있게 읽었다. 죽음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게 하기도 하고, 죽음을 공개적으로 논의하고 곰곰이 생각하는 사회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 네이버 미자모 카페 서평단 이벤트 참여하며 도서를 증정 받아 리뷰하였습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증정 받아 솔직한 리뷰를 하였습니다.

#미자모#두번째인류#한스블록#모리츠리제비크#강민경#흐름출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