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삐 풀린 뇌 - 우리의 자유의지를 배반하는 쾌감회로의 진실
데이비드 J. 린든 지음, 김한영 옮김 / 작가정신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우리에게 있어서 소중한 기관이기도 한 뇌. 그런 뇌는 수많은 일들을 한다. 얼마전 아기의 그림책인 "별걸 다하는 뇌"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가 생각하고 움직이고 하는 것도 모두 뇌의 지시에 의한 것이다. 감성적인 심장과 모든걸 지시하고 다스리는 뇌. 우리는 뇌에 대한 고마움을 모른체 살아가는 지도 모르겠다. 너무나 당연하게 지나치는 일 중의 하나 일지도 모르겠다. "고삐 풀린 뇌"라는 제목을 보는 순간 소위 말하는, 표현하려니 좀 그렇지만 '나사 빠진 듯' 한 말이 생각났다. 뇌를 제어할 수 없다는 표현으로 어른들이 종종 쓰시는 말. 이상한 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보면 나도 모르게 생각나는 단어이기도 하다.

 

 "고삐 풀린 뇌".

우리의 뇌는 우리의 몸을 제어한다. 어떤 상황에 처하게 되었을 때 의사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항을 이루기 위해서 계획을 세운다. 그런 계획을 세워 감정, 기억 저자에 관여하면서 우리의 신경들을 제어하는 뇌. 우리는 이성적인 판단과 감성적인 본능, 두가지의 일을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떤 일이 있을때 그것을 판단함에 있어서 논리적이고 이성적으로 판단하는 이성저기 판단들. 우리는 그런 이성적인 면에서 동물과는 다르다. 하지만 우리에게도 그런 이성적인 면을 무시하고 본능을 앞세워 행동할 때도 있다. 쉽게 얘기하자면 종족 번식이라는 본능은 우리가 지금처럼 문명을 누리고 살기 전부터 해 온 일이다.자신의 영역을 표시하는 일처럼 너무나 당연하게 자신의 씨를 퍼트리려고 하는 본능.

 

 우리가 본능에만 충실하여 자신을 제어하지 못하는 채로 살았다면 조상들이 이룬 모든 문화들은 존재했을까? 문득 그런 생각도 해보게 된다. 우리는 언제나 기분 좋은 것을 하기를 원한다. 쾌감! 누구나 그 쾌감을 원한다. 쾌감의 정도만 다를뿐이지 짜릿하고 즐거움을 추구한다.

 

 "쾌감은 모든 이성적 동물의 의무이자 목표"

 

 이 책을 읽으면서 어떤 사람은 자신의 본능을 억누르면서 살아가는 사람들. 뉴스에서 자신보다 어린 아이를 폭행하는 중년들의 모습이 보도되곤 한다. 그런것만 봐도 본능을 너무 억누르고 살아가는 것은 좋은것 같지 않다. 어느 정도 본능을, 쾌감회로를 이해하고 누리는 것이 좋은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