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협찬 #잃어가는것들 #김나영 #사유와공감 #몽실북클럽 #몽실서평단 #김나영소설집 #단편소설집"당신이 잃어버린 것은 무엇인가요?" 김나영 작가님께서는 《잃어 가는 것들》 속에서 학생, 학부모, 교사 등 평범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양한 관점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것이 너무 현실적이어서 소설이 아닌 내 주변의 이야기이거나 마치 내 이야기인 것만 같은 착각이 들었다. 소중한 것은 잃어버리기 전에는 소중한지 모르고 지낸다. 그러다 비로소 소중함을 느낀 그 순간에는 나의 곁에 존재하지 않아 후회로 물들곤 한다. 그런 우리의 감정을 담고 있는 《잃어 가는 것들》을 읽으면서 지금 이 순간 나에게 소중한 것은 무엇이었는지 생각해 보게 되었다. "아무도, 아무도 모르니까요. 우리가 힘든 건." p.43 코로나로 인해 졸업도 입학도 화상으로 한 세대인 중1의 현우와 성찬은 자신들에게 토로하는 힘든 마음을 더 이상 듣고 있을 수 없었다. 할머니께 맡겨져 동생을 돌보며 생활해야 하면서도 할머니의 감정을 다 받아내야 했던 현우와 화상수업 중 옆에서 감시하듯 함께 앉아 수업을 듣고 숙제 확인까지 하는 엄마로 숨이 막힐 지경인 성찬의 힘듦은 가출로 이어졌다. 가르치는 선생님의 입장이지만 학생에게 따끔한 충고를 하거나 아이들의 싸움을 중재하는 과정으로 인해 학부모에게 곤혹스러운 일을 당하는 선생님들의 모습. 아이들의 싸움이 학폭으로 이어지고 서로가 서로에게 가해자이자 피해자로 전락해버리는 상황에서 자신들을 들볶는 전화는 학생들에게 진정한 가르침을 주겠다는 마음을 사라지게 만들어버리게 한다. <잃어 가는 것들> 속에서 보여준 이야기는 소설이지만 학부모 갑질의 현실을 그대로 담고 있어서 씁쓸했다. <Nneteen's Kitsch>에서는 한 아이가 성장할 수 있도록 뒷바라지하는 부모의 모습을 보여주는 동시에 자신이 흘려보낸 시간 속에서의 마음은 이미 잊은 지 오래라 아이들의 마음이 이해가 되지 않는 엄마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 속에서 아이의 미소를 보면서 비로소 그때의 감정을 떠올리며 아이의 행복을 바라게 되는 마음을 그린다. 혹독한 훈련을 받으면서 자신이 권력의 중심이었던 시기를 지나 이제는 야구선수가 아닌, '히어로'라는 별명을 얻으면 활동하게 되지만 예기치 않은 일로 자신의 활동이 제어를 받게 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소행성의 기원> 등을 읽으면서 나의 잃어버린 것들을 생각해 보게 되는 시간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책블로그 #북블로그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