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자존감을 위한 부모 인문학 - 한 아이를 키우려면 12명의 인문학 대가가 필요하다!
김범준 지음 / 애플북스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내 아이는 더 넓은 세상을 보게 해 줄 거인의 어깨가 필요하다!

이 책에는 다산 정약용, 율곡 이이, 충무공 이순신, 필립 체스터 필드, 자와할랄 네루, 장 자크 루소, 퇴계 이황, 소혜황후, 존 맥스웰, 마야 안젤루, 프란츠 카프카, 벤저밍 플랭클린에 이르기까지 '자존감 공부'에 대한 내용을 시작으로, 자존감 세우기, 관계 자존감, 자존감 다지기로 이어지는 내용을 다루고 있다. 12인의 인물들을 어떤 이야기를 다루고 있을까?

바른 자세가 바른 마음을 이끈다고 이야기한 다산 정약용의 말처럼 단지 공부하나 잘 한다고 여유를 부려서는 안된다. 자녀가 도적질을 하고, 대악과 이단으로 흘러가도록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공부만 잘하면 된다는 식으로 아이를 키우기보다 인성적인 면을 채워주어야 함을 그 시대의 정약용께서도 이야기 하신 부분이다. 율곡 이이의 경우에는 공부는 사람됨의 조건이자 필수임을 강조하면서도, 공부란 쓸데없는 욕심을 누르며 자신을 이겨내는 것이라고 가르치고 있다. 충무공 이순신은 전장에 가서도 어머니의 안부를 걱정할 정도로 효자였다. 그런 평소 모습에 걸맞게 몸과 마음을 잘 보존하고 그 누구보다도 건강하게 다지려는 의지를 갖는것이 중요하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필립 체스터 필드는 위엄은 다른 사람의 말을 기분좋게 듣되 자기의 의견은 겸손하고 명확하게 말하는 데서 온다고 이야기 하면 자존감을 세우기 위해서 굳이 재미있는 사람이 되려고 노력하지 말라고 전한다. 자와할랄 네루는 우리가 만나는 모든 사람을 도구적인 존재로 볼 것이 아니라 존재 자체로 존중받아야 함을 강조한다. 결국 누군가를 도구적인 존재로 보고 있다면 자신 또한 누군간에게는 도구적인 존재인 동시에 일방적인 관계를 맺을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장자크 루소는 아이들이 자신을 배려하는 것 하나 만큼은 제대로 해내기를 바란다고 했다. 자신의 마음과 몸을 존중하고 아껴나가는 것, 그것이 자신에게 얼마나 소중한것인지를 알아야 한다.

자녀의 공부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간섭이 아니라 의무라고 한 퇴계 이황의 말처럼 사람으로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하도록 옆에서 관심으로 지켜보아야 한다. 스스로 잘하고 있다고 생각하더라도 부모가 관심을 가져준다면 더욱 정진하도록 할것이니 말이다. 여성의 덕과 배움을 강조한 소혜 왕후, 좋은 리더라 되려면 일단 자신의 내면에 당당한 겉모습이 되기 위해 스스로를 이끌어야 한다고 한 존 맥스웰의 이야기는 지금 살아가야할 아이들에게 더 없이 중요한 이야기다.

자신감을 갖기 위해서는 자신을 부정하는 누군가의 말에 함부로 타협하지 말아야 한다고 마야 안젤루는 이야기 한다. 나를 부정하는 말을 하는 누군가 앞에서 당당해져야만 자신의 근본가치를 지킬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자신을 사랑하는 건 사람에게 주어진 의무다. 자신에 대한 사랑을 지키기 위해 나를 방어하는 건 세상 그 무억과도 바꿀 수 없는 권리이기도 하다. 우리는 아이에 대한 욕심을 갖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런 욕심이 아이와의 갈등으로 이어짐을 기억해야한다고 프란츠 카프카는 우리에게 경고한다. 벤저민 프랭클린은 어른의 대화에 아이를 참여시켜 아이의 생각이 자랄 수 있도록 해주라고 하고 있다.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온 마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던 말 처럼 아이에게 지혜를 주기 위해 당대 최고의 인문학자, 정치, 문학,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준 이슈메이커 등 12명의 거인을 통해 부모가 아이에게 반드시 알려줘야 할 인생의 지혜가 무엇인지 깨달을 수 있도록 도와 주고자 하는 아이의 자존감을 위한 부모 인문학이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