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혜영의 식탁 - 가족을 위해 짓고, 만들고, 담아 내는 정혜영의 따뜻한 식탁 이야기
정혜영 지음 / 이덴슬리벨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족을 위해 짓고, 만들고, 담아내는 정혜영의 따뜻한 식탁 이야기 《정혜영의 식탁: TABLE》

의식주 중에서도 나의 손을 거쳐야만 하는 것이 식, 바로 음식이다. 요리를 잘하지 못하는 나로서는 하루 두끼 차리는 것도 할줄 아는 레시피를 돌려서 만들거나 인터넷 레시피를 검색한다. 아니면 너무나도 손쉽게 친정엄마 찬스를 쓴 김치를 가져오거나 배달찬스를 이용한다. 쉽고 간편하게 넘어가자는 생각으로 배달찬스를 쓰고 나면 솔직히 미안한 마음이 들기는 하다. 좀더 정성을 다해서 해주지 못한 미안함일것이다.

《정혜영의 식탁》을 한페이지 한페이지 넘기면서 가족에 대한 사랑과 정성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다. 아이를 넷을 키우시면서 음식에 정성을 다하고 예쁘게 담아서 식탁 위에 올리기까지의 시간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느낌이었다. 사실 우리집의 경우 첫째의 경우는 자기가 좋아하는 반찬이 나오는 경우에만 평소보다 많이 먹는다. 게다가 둘째의 경우에는 같이 식탁에 앉아 밥을 먹는 시간이 너무 짧다. 하지만 단 한가지 고기를 굽는 날에는 둘다 식탁에 오래오래 앉아 먹는다. 게다가 고기가 익어가는 그 시간을 기다리지를 못한다. 내가 고기를 굽는동안 얼마나 자주 들여다보는지 고기 앞에 서있는 나는 잠시의 시간이 마치 몇시간이 흐르는듯 조마조마하다. 그래서 더욱 예쁘게 담아서 먹는것은 꿈도 꿀 수 없다. 책을 펼쳐보는 동안 음식을 맛있어보이고 예쁘게 담아둔 사진을 보면서 내심 더 부러웠다.

《정혜영의 식탁》은 사계절의 식탁을 담고 있다. 봄, 여름, 가을, 겨울. 그 계절에 맞는 재료를 사용하여 가족의 건강을 챙기며 하나하나 차려진 식탁. 그 식탁에 앉아 맛있는 음식을 먹어보는 상상을 했다. 우리가 쉽게 해먹는 음식들도 있고 집에서 잘 해먹지 않는 음식들도 있었다. 레시피들을 보면서 다음에 한번 해봐야지 하는 음식 레시피들이 있어서 더 유심히 들여다보았다.

같은 음식을 해먹어도 어쩜 이렇게 다를까. 유부초밥이나 스팸무스비를 해먹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간단하게 몇가지 재료만 넣어서 하게 되는데, 간단한 유부초밥과 스팸무스비도 멋진 요리로 탈바꿈하는 모습에 감탄할 수 밖에 없었다. 거기다 카페에 가면 손쉽게 먹을 수 있는 패션프루츠청을 직접 만드신 레시피를 보면서 작년 학교 요리수업으로 만들었던 것이 떠올랐다. 간단하기는 하지만 패션프루츠를 손질하는 것부터가 요리의 과정인것을 생각하면 대단한 정성으로 느껴졌다.

가족들에 사랑과 정성을 고스란히 담은 《정혜영의 식탁 : TABLE》를 출판사로부터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