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 읽는 인간, 호모 부커스 - 디지털 시대, 아날로그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조상연 지음 / 파지트 / 2022년 4월
평점 :
절판
디지털 시대, 아날로그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책읽는 인간, 호모 부커스》
평범한 인생을 살다 책읽기를 시작하여 독서가 인생의 획기적으로 바꿀수 있는 행위라는 것을 깨닫고 미친듯이 독서에 빠지고 계시다는 조성연 작가님의 《책 읽는 인간, 호모부커스》를 만났다.
디지털 시대에 왜 책을 읽어야 하는가?
도대체 독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가?
책 읽는 습관은 어떤 효과로 나타나는가?
이 책은 세가지 질문에 초점을 맞춘다. 이 책을 읽으면 독서습관을 쉽게 만들 수 있는 것은 물론, '왜 독서가 인간이 할 수 있는 최고의 능력인지', '왜 수천년동안 책은 사라지지 않았는지', '세계 최고 부자들이 왜 매일 책을 읽는 것인지'를 알게 될 것이다. p.6 ~ p.7
주변을 살펴보면 독서를 즐기는 사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많다. 때로는 시간이 없어서, 때로는 돈이 들어서, 혹은 책을 보관할 공간이없어서라고 한다. 어쩌면 그것은 핑계인지도 모른다. 하루 1쪽이라도 틈틈이 틈새 독서를 하는 사람들도 있으며, 공간부족하거나 돈이 드는것이 싫은 사람들은 도서관을 활용하면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실상은 그러지 못한다는 것이다. 왜 그런것일까? 그것은 마음의 문제가 아닐까? 책을 읽으려는 마음이 없어서 책과 친해질 수 없는 것이다.
우리는 왜 독서를 해야 하는 것일까? 성장하는 삶에는 독서가 필요하다.
우리는 모든 경험을 할 수 없다. 그렇기때문에 누군가의 경험을 통해 간접경험을 하고 그것을 통해 배우면서 삶의 지혜를 얻게 된다. 완벽한 존재는 없다. 우리가 알고 있는 위대한 위인들조차 실수를 하며 그 실수를 통해서 배움을 얻고 다른 위대한 사람을 본받으려고 한다. 책에서 말했듯이 책을 읽는다고 성공하는것은 아니지만 성공한 사람들은 책을 읽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들또한 책에서 새로운 것을 얻어낸 것처럼 우리도 책에서 새로운 것을 얻는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하지 않을까?
우리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생활한다. 심심함을 달래기 위해 손쉽게 검색을 하다보면 우리는 책과는 멀어질 수 밖에 없다. 그런 우리를 너무나도 잘 알고 계신 작가님께서는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자세2가지를 언급하고 계신다. 첫번째는 자신이 디지털 기기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돌봐야한다. 두번째 신경써야 할 일을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시간은 누구에게나 24시간이다.
독서는 시간이 날 때 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을 내서 해야 한다. 누구에게나 주어지는 시간이라는 자원을 디지털로 소비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해 보자. p.93
책을 읽는 것이 힘들다면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주위에 독서를 하는 사람들이 많이 없지만 책을 읽는 것자체를 즐기고 있다. 독서모임에 참여하여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서 말하는 능력이 향상되어지고, SNS를 활용한 책이야기 소통도 하나의 방법이다. 요즘은 SNS와 카페 등을 통해 서평단활동을 하고 읽은 서평들을 올리면서 책을 좋아하는 분들과 소통하는 즐거움도 있다. 좋아요를 눌러주고 가시는 분들도 계셔서 책을 읽는 즐거움이 더 커지고 있다. 즐기면서 하는 독서의 한 일환이라고 생각하며 즐기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자기계발서보다는 소설을 읽었던 나의 편독을 조금이나마 반성하는 시간이었음과 동시에 책을 읽고 그것으로 끝내는 것이아니라, 실천하는 힘을 길러야한다는 것을 다시금 느끼게 해준 책 읽는 인간, 호모부커스였다. 즐기는 독서에서 배우는 독서로 변화가 필요한 시점임을 느끼며 자기계발서들을 다시 한번 뒤적여보아야겠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