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력적인 사람의 감각적인 언어 사용에 대하여 《표현의 감각》 《표현의 감각》을 읽으면서 문득 이기주 작가님의 《언어의 온도》가 생각났다. 이기주 작가님께서 버스나 지하철 등에서 들었던 말에 평범한 사람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다 전해져오는 문장들을 기록해두었다가 그말에 얽힌 사연을 풀어쓰듯, 언어 속에서 느껴지는 차가움 따스함을 이야기한 작품처럼 김주현 작가님의 표현의 감각 또한 언어에 관한 인문에세이다. 사실 장르를 보지 않은 상태에서는 소설이라고 생각했다. 세연이라는 인물을 등장시켜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를 사용할때의 느낌을 이야기 하고 있다. '말 한마디로 천냥빚을 갚는다'는 말 처럼 말의 중요성을 알고 있으면서도 우리는 그것을 잊은채로 사용한다. 헷갈리기도 하고 잘못 사용되던 습관이 굳어져서 제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생각에 고치려고도 하지 않았던 것들. 말이 가진 힘은 우리의 생각보다 크다. 그리고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상대방이 느끼는 감정도 달라지기 마련이다. 말이라는 건 '아'다르고 '어'다르다. 누구나 아는 말이다.상대에 따라 다르게 말할 줄 알아야하고 상황에 따라 골라 말할 줄 알아야 한다. 사회적 인간이라면 상식의 범주에서 엄격하게 구분한다. 매운 위운 말이라서 그 다른 느낌을 우리는 쉽게 포착하기도 하지만 교묘하게 이용하기도 한다. p.74 어떻게 말을 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마음. 때로는 직설적으로 이야기를 해야 하고, 때로는 말을 돌려서 해야 하기도 하지만 하지만 그런 상황을 제대로 포착하지 못한채 이야기를 하다보면 감정이 상하는 것이다. 책에서처럼 신입사원이라고 표현해도 되는 말을 굳이 계약직원이라는 단어를 선택함으로서 상대방에게 화가 나게 만드는 것이다. 부정적인 말보다는 긍정적인 말을 사용하게 되면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아이들의 언어 습관속에서도 마찬가지다 하고 싶은 상황이 생겼을 때 "~안돼요." 라는 말 대신에 "~ 해도 돼요?"하는 식으로 바뀐다면 주도적인 사고를 하는 아이를 바라보면 미소짓게 되면서 긍정의 대답을 건네게 될것이다. 우리가 아무렇지 않게 사용하는 언어를 조금만 더 주의깊에 생각하고 사용한다면 우리는 매력적인 사람으로 거듭나게 될것이다. 그렇게 되면 상대방이 나와의 대화를 더 즐겁게 받아들이는 시간들이 될것이다. 누군가 당신에게 대화가 통하지 않고 답답하다고 이야기 한다면 당신에게 표현의 감각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어떻게 표현을 하느냐에 따라 감정을 이끌어내고 이끌어내지 못하기에 우리는 언어를 감각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