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 만난 수학
고정욱 지음 / 책담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년을 위한 본격 수학 소설 《어쩌다 만난 수학》

고정욱 작가님의 작품 중에서 제일 처음 잃은 책은 《가방 들어주는 아이》였다. 몸이 불편한 친구를 도와주는 따뜻한 마음이 느껴지던 내용이었다. 어릴적 소아마비를 앓아 1급 지체장애인으로 휠체어를 타지 않으면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이심에도 장애인이 차별받지 않는 세상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노력하고 계시다는 작가님의 마음으로 일구어 주신 많은 책들을 읽어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몸이 불편하다고, 마음이 아프다고 이내 포기해버리는 아이들에게 용기를 주고 희망이 되어줄 작가님의 이야기를 만나보았다.

《어쩌다 만난 수학》을 보면서 청소년을 위한 새로운 수학소설이다. 소설 중에도 나오는 말인 수포자. 아이들은 왜 수학을 포기해야만 했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생활 속에서 사용되지 않는 수학이라는 느낌이 강해서 굳이 배울 필요없는게 아닐까 하고 느끼다 보니 자연스레 멀어지는 수학의 세계. 수학을 배움으로서 결국 삶의 지혜를 배우게 됨을 아이들도 느끼고 수포자들이 없어졌으면 하는 작은 바람을 안고 이야기와 만나보았다.

아빠의 퇴직과 사업실패로 결국 연고도 없는 곳으로 이사를 오게 된 준표. 준표는 그날 죽을 고비를 넘기게 된다. 녹산에 도착했을 무렵 갑작스럽게 산사태가 발생하여 온가족이 뒤집어진 자동차에 갇히게 된것이다. 그렇게 준표는 달갑지 않은 녹산에 대한 인상을 받게 된다. 응급실에서 퇴원한 준표네 가족이 마주한 고모할머니네 낡은 건물을 보는 순간 더 답답했던 준표. 준표는 우연히 여자애들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아이를 구해주게 되고 전학간 학교에서 다시 만나게 된다.

자칭 수포자인 준표가 수학천재인 정식을 만나 수학과 친해지며 수학에 대한 재미를 느끼게 된다. 방정식에서 포기했다는 준표에게 기초부터 쉽게 알려주는 정식은 수학에만 열성적이었다. 그리고 학원을 운영하려고 했던 아빠와 엄마는 녹록치 않은 현실 앞에서 다툼을 벌이게 되고 준표 또한 힘든 상황에 처하게 되지만 준표에게는, 준표보다 더 어려운 상황에서도 꿎꿎하게 헤쳐나가는 정식이 있었다.

산사태로 사라져버린 불상과 유물을 찾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매달리고 그 속에 현상금이 걸린 현수막을 보면서 정식은 자신이 좋아하는 수학으로 풀어나간다. 사라진 불상과 유물을 찾기 위해서 공식을 만들고 답사를 해가면서 유추해가는 준표와 정식과 그런 둘과 함께하는 세인. 세사람은 찾아내어 현상금을 받을 수 있을까?

아이들의 모습에서 수학은 이런것이다 하는 느낌을 받았다.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수학을 그대로 보여주면서 수학을 배워야하는 이유를 소설로 보여주고 있는 《어쩌다 만난 수학》이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