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을 걷는 아이 - 모네의 <수련>부터 뭉크의 <절규>까지, 아이의 삶을 찬란히 빛내 줄 명화 이야기
박은선 지음 / 서사원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네의 <수련>부터 뭉크의 <절규>까지, 아이의 삶을 찬란히 빛내줄 명화이야기
아이라는 명화를 그리는 부모들에게 전하는 영원히 변치 않을 여덟 가지 가치 《미술관을 걷는 아이》

일상이 예술이라고 가르치는 고등학교 미술교사이신 박은선 작가님의 책인 미술관을 걷는 아이를 만났다. 미술관, 명화감상. 왠지 모를 고상한 취미 생활같아보이기만 해서 거리가 느껴지지만 아이와 함께라면 가까운 곳에 전시를 한다고 하면 가보려고 한다. 하지만 생각보다 문화생활을 즐기기에는 어려운게 사실이다. 그렇다보니 아이와 명화를 보는 일은 아주 특별한 일이 되어버렸다.

레오나르도다빈치, 고흐, 피카소,이중섭, 박수근 등의 위인전을 읽다가 이따금씩 볼 수 있는 그림에 만족하기 일쑤였다. 위인전에 나오지 않는 그림에 대한 궁금증은 검색해서 보는 걸로 풀 수 밖에 없었다. 그러던 와중에 몇년전 좋아하는 화가인 고흐의 도슨트 전시회가 있어서 들렀다. 설레이는 마음에 고흐와 관련된 책을 읽고 작품들을 미리 살펴보고 갔더니 어찌나 신나게 떠들어 대던지 그 모습을 아직도 잊을수가 없다. 다음번에도 가보자고 한것이 마땅치 않아서 가보지 못하고 아쉬움만 쌓여가던 중에 또 그런 아쉬움을 달래줄 책을 만났다.

명화감상에서 그치지 않고 아이들의 감성까지 채워줄 책을 만난것이다. 명화를 통해서 가치를 찾아주는 것. 쉽지 않지만 그런 가치를 깨워줄 길로 인도해 주고 있는 책이다.

PART 01. 이해 : 강인한 아이의 내면을 그리며
고흐의 <열다섯 송이의 해바라기와 꽃병> 그림을 보며 영원히 꺼지지 않는 열정과 화가의 가슴에 꿈틀거리는 생동감을 느낄 수 있다. 고흐가 그린 이상 세계를 느끼게 해준다. 그런 아이의 가능성을 깨워줄 그림을 그려보면 어떨까? 그림에서 어떤 것이 느껴지는지, 어떤 색으로 그리고 싶은지에 대한 이야기를 자유롭게 나누는 것으로 충분히 아이의 내면을 바라볼 수 있다고 하니 다음에 한번 시도해보아야겠다.

PART 02. 창의성 : 참신한 아이의 생각을 그리며
<다다 헤드>는 어떤 느낌인가요? 황금비율로 정교하게 다듬어진 얼굴이라고 해요. 종종 너무 단순한것 같지만 창의적이라는 호평을 받기도 하지요. 그것은 무에서 유로 반들어 낸 창작물이라는데에만 국한되어있지 않은 듯해요. 어디서 본듯한 느낌도 창의적으로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을 심어주는 것 또한 미술작품으로 가능하다는 사실이 색다르다.

PART 03. 관찰 : 탁월한 아이의 시선을 그리며
미니멀리즘의 시초가 되었다는 <검은 사각형>의 그림에서는 단순함을 배울 수 있다. 단순한 그림이 단순한 경험을 주는 것이 아닌 더 다양한 상상을 불러일으킬 수 있음을 배우게 된다고 한다. 많은 것에 쫓기듯이 여유없는 아이의 일상에 여유를 주는 것이다.

PART 04. 공감 : 따뜻한 아이의 관계를 그리며
<스냅 더 휩>의 그림을 보면서 활기찬 아이들의 모습을 느낄 수 있다. 신나게 뛰어노는 아이들을 보면서 함께 뛰어 놀고 싶어지는 공감능력이 생겨나는 것이다. 그림을 바라보며 아이들은 어떤 기분일지 생각해보는 것도 우리 아이의 공감능력이 올라갈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일것이다.

PART 05. 진실함 : 고유한 아이의 자아를 그리며
그림의 배경을 알면 더 재밌는 이야기가 숨어있지요. 자신의 후원자 앞에서도 고개를 뻣뻣하게 들고 있는 모습, 자신의 양심있는 삶을 살며 부끄러워하지 말라는 가르침을 주는 그림이라고 해요. 진실과 거짓 사이에서 혼란스러워하지말고 진실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자신의 신념을 말할 수 있도록 해야겠어요.

PART 06. 감수성 :온화한 아이의 영혼을 그리며
우리가 알고 있는 에펠탑과는 다른 강열함을 지니고 있는 <붉은색 에펠탑>,단순히 자신이 알고 있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색다른 느낌으로 표현하는 것 감수성과 창의성을 모두 보여주는 그림이라는 사실, 아이도 이런 그림을 보며 급변하는 시대에서 느끼게 될꺼라고 생각해요.

PART 07. 지혜 : 올바른 아이의 태도를 그리며
끝없는 배움의 일생을 보여주는 <책벌레>라는 그림을 통해 책에 대한 호기심과 글을 읽으며 사색하고 올바르게 대하는 지혜를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할 것이다.

PART 08. 희망 : 행복한 아이의 인생을 그리며
결과 중심의 사회에서 노력하는 과정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주며 실패하는 결과를 얻게 되더라도 희망을 품고 살아가야 함을 알려주어야할 것이다. 점묘법으로 그린 이 그림을 통해 노력하여 얻어낸 그림임을 보여준다.

명화를 보며 아이의 마음을 다독여 줄 수 있고, 아이가 살아가는 지혜를 얻을 수 있게 도와주는 가치를 배우게 도와주는 미술관을 걷는 아이를 서사원출판사로부터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