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 언제가 나의 청춘이었을까 생각해보게 되네요. 몇 개월후면 마흔이 되어버리는 아들둘을 키우는 아줌마인 제게 청춘 공백기는 스무살 갓 졸업했을때를 떠올리게 하는 책이었답니다. 대학 졸업하기 전 취업을 하고 싶었으나 그것도 마음대로 되지 않았고, 남들 한다는 공무원 시험 공부도 해보고 공무원시험까지 치러보기는 했지만 이렇다할 성과없이 졸업을 하게 되고. 공무원시험 준비한다는 핑계로 미루던 취업도, 호기롭게 도전한 공부도 잘되지 않을때 불안함을 달래려 기간제로 일하기도 하다 결국 공무원이 공부를 접었던 시절. 청춘은 왠지 행복하고 즐거울꺼 같았지만 그시절의 내 기억이 행복하고 즐겁지만은 않았기에. 청춘이 주는 싱그러운 이미지가 내게는 발전하지 못하고 그 자리에 머무리던 정체기의 모습을 떠올리게 해주는 것만 같아 슬픈 단어랍니다. 작가님의 소개글에서 보면 마치 내 마음이 들켜버린듯했답니다. 오랜 백수생활로 느끼는 무기력과 우울증이 공감되면서도 청춘 공백기라는 말이 왠지 기대되어졌답니다. 조금 느려서, 다른 아이들과 달라서 아이를 돌봐야 한다는 생각에 휴직을 하고 쉬고 있지만 휴직기간이 지나면 퇴사를 염두해 두고 있는 나의 일상 또한 백수생활과 다를바 없고, 무기력과 우울함은 마치 한세트라도 되는 냥 다가오니 하루에도 수십번 감정 기복이 생기는 나는 이제 마흔이 다가오는 이름 모를 공백기를 보내고 있다보니 청춘공백기는 나보다는 나은게 아닐까 하는 부러움마저도 들었답니다. 때로는 행복하고 때로는 불행해. 매 순간이 행복하지는 않아. 다만 조금은 알 것 같아. 인생이라는 게 매 순간 가습 벅차게 행복할 수는 없다는 것을. p.45 항상 행복한 인생은 없는 것일까? 그런 생각을 해본다. 만약 누군가가 매 순간이 행복하기만 하다면 그 순간들이 행복으로 다가오게 될까? 때로는 불행하기도 하고, 때로는 슬프기도 하기에 행복이라고 느끼는것은 아닐까. 누군가와 비교해서 나는 불행하다는 것이 아닌 온전히 나를 위한 행복을 느껴보고 싶어진다. 때로는 불행하고 슬프더라도 그것을 이겨내고 행복할 수 있다는 믿음이 있다면 그런 불행도 아무것도 아니라고 느껴질것이기에. 마흔이 어느새 성큼 다가와 있는 지금의 나는 괜시리 마흔이라는 나이가 마음을 뒤흔들고 있음을 느낀다. 30대와 40대의 경계에 놓인 지금 나는 왜그리도 마흔이라는 숫자에 흔들리는 것일까. 단순히 보면 별다를 껏 없을텐데도 두렵다. 하지만 그 두려움을 안고 있기보다, 39살은 끝났지만(End) 내가 원하는 49살을 위해 계속 살아갈 것(And)이다. End와 And도 한끗차이이듯 내 마음의 차이임을 깨닫는다. 하지만 지금 이순간 깨달았다고 해서 내가 다시 흔들리지 않을꺼라는 것을 장담할 수는 없다. 그 옛날 청춘의 시끌벅쩍함은 없지만 어쩌면 지금이 또 다른 나의 청춘일지도 모르겠다. 내가 숨쉬고 살아가는 지금이 내 인생에서 가장 젊고 아름다운 순간이기에 지금의 청춘을 열심히 살아보아야겠다.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