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도록 책만 읽는
이권우 지음 / 연암서가 / 2009년 5월
평점 :
부끄럽지만 한동안 책을 잊고 산 적이 있었다. 정작 가장 많이 읽어야 할 20대 성장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전공 공부를 위해서 컴퓨터에 매진하고, 학교 사람들과 MT에 수도없이 참여하고, 토익이다 자격증이다 취업에 도움되는 일련의 작업들만 소중히 하고 지내왔다. 그런 울분의 시간 끝에 취업을 덜컥 해버렸지만 어느덧 나는 책과의 이미 이별 이상의 이단 분리가 되어있었다. 마음 한구석이 시커멓게 타들어 있는 것이 어쩌면 책과의 이별때문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죽도록 책만 읽는>이란 제목에서 가슴 두근 거림을 느꼈다. 책을 많이 읽었다고 할 수 없는 나를 미치도록 부끄럽게 만들었다. 열정만 있고 실천이 없던 나를 다독거리기라도 하듯 이 책은 아직은 늦지 않았다고 말하면서 저자 이권우는 문학, 인문, 사회, 과학, 예술 등 7개 부문으로 나누어 110여 권의 책을 소개시켜준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분이는 문학과 예술 분야. 특별히 그부분들을 먼저 읽어내려갔다. 하지만 금새 또 우울함이 찾아왔다. 여기에 나와있는 110여 권의 책들 중에서 내가 읽은 책은 극소수에 불과하다는 현실이 바로 그 이유였다. 참 부끄럽지 않은가. 이렇게 죽도록 책만 읽어도 모자랄 판에, 들어본 책 조차 찾기 어렵다는 것이.
이권우 작가는 이미 겹쳐 읽기와 깊이 읽기를 통해서 다채로운 책 읽기를 시도했던 도서 평론가라고 한다. 사실 이렇게 서평을 쓸때마다 어떤 식으로 책을 소개할 것인가에 대해 엄청 고민을 많이 하게 되는데, 이 분이 쓴 것처럼 쓸 수 만 있다면 좋겠구나라는 모범 해답을 찾았다. 단지 이 책이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는가 어떤 구성으로 쓰여 있는가의 소개를 넘어서, 책이 담고 있는 문제 의식을 자신에게 그대로 흡입시키는 그 상태까지도 긴밀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예를 들어 심윤경의 '이현의 연애' 에 대한 소개를 '이런 사랑도 있다' , '이런 모험도 있다.' , '이런 파국도 있다.' , '이런 운명도 있다' 식의 독특한 표현을 사용했다는 것이다. 짧으면서도 강하고 진지하면서도 재미있다. 나도 이런 서평을 쓸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저자가 소개한 책 중에서 읽기와 듣기의 힘을 강조하는 다치바나 다카시 외 2인 [읽기의 힘, 듣기의 힘]이 있다. 뭐 너무 유명해서 더이상 말할 필요도 없는 인물이지만 그가 말한 말이 얼마나 내가 해보고 싶었던 말이었는지 모른다.
" 저는 이 나이가 될 때까지 일생 동안 책 둘 곳을 마련하기 위해 살아온 듯한, 책 둘 곳을 유지하기 위해 참으로 열심히 일해온 듯한, 그런 인생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마저 듭니다."
나도 죽도록 책만 읽어보고 싶다. 앞으로 나도 책과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길로 진로를 전향했다. 글쓰기와 기획이 더없이 중요해졌다. 소설도 무진장 많이 읽어야만 한다. 그럴때마다 꺼내보고 싶다. 일생 일대의 결심이고 변화인 만큼 성공적인 '나'가 되기 위해서 정독의 길로 가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