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 - 뇌과학, 착한 사람의 본심을 말하다
김학진 지음 / 갈매나무 / 201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뇌과학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듯 하다.
다양한 도서에서 그냥 두루뭉술한 심리를 다루는 게 아닌
뇌과학을 통해 사람을 알아가는 책들이 나오는 듯 하다.
심리도 100% 일치하는 것은 아니기에
참고만 하는 느낌이지만
과학적으로 라는 그 말에
더욱 신뢰가 가기도 한다.

아무튼,
이런 뇌과학을 통해 착한 사람의 본심을 알 수 있는
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
뭔가 제목부터 흥미로운 느낌이었다.

 


사람은 사람없이는 살 수 없다.
자연스레 다른이들의 이목을 생각 할 수밖에 없고,
소위 말하는 관종 역시 정도가 과했을 뿐,
그런 감정을 갖지 않는 사람은 드물지 않을까?

이러한 것들이 모두 인간의 본성이라는 것인데,
살아남기 위한 뇌의 선택이 결국 이타주의라는 것이다.

이타주의란
무언가의 행위에 대한 목적을 남에게 둔다는 것이다.

봉사활동을 해도 측은지심 뿐 아닌 다른 감정이 녹아들어갈 수도 있다.
누군가에게 잘 보이고 싶다거나,
그로인해 무언가를 과시하고 싶다거나,
그로인해 나의 가치를 찾는다던가 하는..

인간의 행위는 딱 무엇이라 못박을 순 없는 것이기에
더욱 어렵지만 흥미로운게 아닌가 싶다.

 


좋아요에 집착하는 것.
즉 남들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구.
쉽게 인정 받을 수 있고,
자신을 표출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온라인인 듯 하다.

그런데 이런 모든 이가 받고 싶어하는 인정이라는 게
과하게 중독이 되는 경우
갑질이 생기기도 하고,
인정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해 분노를 조절하기 어려워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흥미로운 점은 본인이 얼마나 인정중독인지
스스로 체크하는 방법이었는데,
"나는 하루에 몇 번 어느 정도의 강도로 타인에 대한 험담을 하는가?"
라는 질문이었다.

나보다 잘난 사람이 불행에 빠지면
측핵이 활성화 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고 한다.
즉, 남을 비난하고 싶을 땐
그 욕구의 근원에 자신의 인정 욕구가 숨어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을 하니
나도 모르게 부끄러워졌다.

그리고 착함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로웠다.
이타적인 행동은 더 높은 보상을 얻기 위한
계산된 전략으로도 볼 수 있다고 한다.

착한여자 콤플렉스가 문득 떠올랐다.
본인이 행복해서 라기 보다는
착하다는 이야기와 인정을 받기 위해
본인을 희생시키는 것..
그 또한 이타적인 행동이 아니었을까?

공감에 대한 이야기에서 나온 목수의 이야기.
15센티미터 못 위로 떨어져 신발을 관통해서
굉장히 고통스러워했는데,
알고보니 발가락 사이로 관통해서 전혀 상처가 없었던 것.
결국 뇌의 장난(?) 이었던것이다.
통증 신호는 두갈래로 나뉘어서 물리적, 정서적 정보가 처리되는데,
이 정서적 정보가 처리되는 뇌의 부분이
공감을 할 때 활성화가 된다고 한다.

이 외에도 사이코패스에 대한 이야기 등
뇌과학을 통해 분석한 다양한 이야기들이
그간의 사람들의 행동을 되짚어 보게끔 만들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온 몸과 정신을 관여하는 뇌가 새삼 신비로웠다.

사람의 본성을 뇌에 대한 이야기로 풀어
약간의 전문용어가 나오긴 하지만
지루하지 않게 다양한 연구들이 가득했다.

두루뭉술한 그렇다더라가 아닌
다양한 연구결과와  뇌 과학을 통해
사람들의 본심을 알 수 있어 굉장히 흥미로운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