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마음이 이런 줄 알았더라면 - 속으로 울고 있는 내 아이를 위한 거울부모 솔루션 10
권수영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자라나기 시작하면서 점점 나와는 다른 존재인 걸 몸으로 느껴지게 된다.

태어남과 동시에 아이는 하나의 인격체라고 하지만,

사실 어릴때의 별 걸 다 못하는 어린 아이일 땐,

부모가 케어를 해주면서 독립된 인간으로 보기보다,

내가 돌봐줘야 할 원플러스원의 존재처럼 느껴진다.

그러다보니 하나하나 아이들에게 조언을 넘어 간섭을 하고,

그에 따른 부정적인 반응들에 화가나며,

그런 부모에게 아이는 실망을 해서 엇나가고,

악순환의 연속이 되는 것 같다.

하지만, 아이는 내가 돌봐줘야 할 존재이기 전에

독립적인 인간이기 때문에 마음을 들여다봐줘야 하는데,

나와 다른 사람인 아이의 마음을 점점 더 모르게 되는 것 같다.

그래서 <아이 마음이 이런 줄 알았더라면>이라는 책의 제목에

마음이 더욱 끌렸던 것 같다.

이 책은 20년간 부모코칭을 하며 발견한

미러링, 거울 부모에 대해 담고 있는 책이다.

아이의 부정적인 모습을 보기에 앞서

부모 자신을 먼저 봐야하는데, 이걸 놓치고 있었던 것 같다.

아이의 맘을 헤아려 주지 않는다면, 아이는 더이상

부모와 대화가 통하지 않는다고 여기게 되기에

아이의 가슴높이 대화를 생활화 해야 한다고 한다.

공감이 아닌 이해만을 하려 하고 있다면,

그건 아이가 아닌 부모에게서 원인을 찾아야 한다는데,

생각해보면 정말 가슴깊이 아이를 매번 공감하려 했을까 싶었다.

아이의 말대꾸를 막는게 좋지 않다는 이야기도 다소 충격이었다.

부모에게 대들지 말라는 건 유교사상때문인지, 아니면 그로인해

더욱 나빠질 걸 앞서 걱정하는 때문인지, 당연히 안된다는 생각이었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어린 아이들은 특히나

본인의 감정을 조리있게 말하거나, 감정을 컨트롤하며 말하기 어려운데 당연한데,

조금 화를내며 말대꾸를 하는 것 만으로 아이의 말을 막아버리고 있었다.

이러면 아이는 하고 싶은 말을 하지 못하며 억울해지고,

더 나아가 착한아이 콤플렉스까지 겪을 수 있게 된단다.

성장해서 내 목소리를 낼 수 있을 때,

제대로 목소리를 낼 수 없게 되는것이다.

아이는 스스로 결단으로 착해져야 한다,

스스로 자기 자신의 주인이 되도록 도와야 한다는 부분이 와닿았다.

그리고 나쁜 점을 콕 집어서 계속해서 잔소리를 하는 것 보다는

좋은 행동을 오바를 해서라도 과하게 칭찬을 해서

아이가 직접 즐거움을 느껴서 행동하게 해야한다는 점도 인상깊었다.

요즘 여러 책이나 유튜브등을 보며 느꼈던 게

아이의 나쁜점에 집중하지 말라는 부분이었는데,

생각해보면 습관적으로 그렇게 되는 것 같다.

밥을 안먹으면 왜이렇게 안먹냐, 정리가 필요할 땐

지저분하니 좀 치우자. 빨리해라..

내가 들어도 하기 싫을 것 같다.

공감보다는 나의 여유없음과 서두름이

말로 서로를 힘들게 하기만을 하는 건데..

오히려 잘 하는 것을 칭찬하고 주목해주면

신이나서 더 하게 되는 걸 나도 느꼈지만

습관이 안되니 자꾸 부정적인 부분에 주목하게 되는 것 같다.

아이의 마음을 엄마가 공감해주며 미러링하고,

머리로 이해하는 게 아닌 가슴 높이에서 아이를 공감하는 것.

그리고 아이의 부정적인 말이나 행동을

어떻게 바르게 표현할 수 있는지 잡아주는 것.

부모로서 배울것, 해야할 것들이 많고도 어렵지만,

멋진 어른으로 성장하게 도와주려면 내 자신이 먼저 노력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