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들은 알고리즘을 알았을까 ? - 길 찾던 헨젤과 그레텔, 마법 주문 외우던 해리 포터
Martin Erwig 지음, 송원형 옮김 / 영진.com(영진닷컴)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공부하듯이 책을 읽을 때가 있다.

이 책도 그러하다.

 

 책을 읽으면서 헨젤과 그래텔의 알고리즘을 정리해 본것이다. 헨젤과 그레텔은 숲속에서 집을 찾아오기 위해 아버지를 따라가면서 던져 놨던 돌을 따라서 집에 다시 돌아오는데 이 책의 저자는 돌을 따라 집에 오는 것에서 알고리즘과 매개변수를 설명한다. 여기서 매개 변수는 헨젤이 놓아 둔 조약돌이 된다.

 

이 책의 '영화와 동화에서 배우는 컴퓨터 과학과 알고리즘' 이라고 써 있는 뒤표지나

황금색 마녀의 모습같은 겉표지만 봤을 때 좀 가볍게 접근할 수 있는 책일 꺼라고 생각했는데
책을 펴자 마자 '헉' 했다. 글씨가 빡빡하게 차있는데 뭔가 심상치 않았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 Martin Erwig 은 " 컴퓨터 과학이 무엇이냐?" 라는 질문에 대해 "컴퓨터 과학을 체계적인 문제 해결에 대한 연구"라고 표현하며, 이 책의 주요한 목표는 계산의 일반적인 특성과 컴퓨터 과학의 폭넓은 적용가능성을 설명함으로써 사람들이 컴퓨터과학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배우고 싶은 열망을 가질 수 있는 촉매 역활을 하기 바란다고 했는데  저자의 바램은 이루워 질것 같다.

이 책은 알고리즘과 언어 라는 두 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표1)  책을 효과적으로 읽는 방법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 부분을 잘 참고 넘어간다면 재미 있게 읽어 나갈 수 있다. 컴퓨터 과학의 생소한 개념들을  잘 알려져 있는 '헨젤과 그레텔' '셜록 홈즈' '인디아나 존스' 등의 동화와 영화 이야기에서 구체적인 예를 들어가며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컴퓨터 과학' 이 뭔지 궁금한 사람들에게 친절한 교과서가 될 것이다.
그리고 이미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에게는 개념을 다시 한번 정리할 수 있는 책이 될 것이다.
어렵지만 재미있어서 매력적인 책이다. 마치 겉표지의 마녀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밌어서 밤새읽는 수학 이야기 : 프리미엄 편 재밌어서 밤새 읽는 시리즈
사쿠라이 스스무 지음, 장은정 옮김, 계영희 감수 / 더숲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의 세계는 삐죽 삐죽한 숫자들이 보초를 서고  스핑크스같이 난해한 질문을 던지곤 하는 시험이란 관문 때문에 많은 여행자들이 길을 잃거나 여행을 포기하곤 하게 되는 곳이다.
이 책의 저자는 '정말 재미있어서 밤새우게 하는 것이 바로  수학' 이지만 너무도 거대하기에 혼자서 상대하기에 어렵다 면서 기꺼이 수학의 세계의 여행 가이드를 자처한다.

수학의세계에서 만난 첫번째는 '해바라기' 다. 활짝 피어있는 노란 꽃잎은 사실 수천개의 작은 꽃이 모여 있는데 이 작은 꽃은 피보나치수열 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점점 우리는  일상에서 접하는 수학문제들에 빠져 들게 된다.
스마트 폰의  잠금의 9개의 점을 직선 1개로 한붓 그리기를 할수 있을까?

 

 

 책은 그림을 통해 충분히 이해 가능하게 돕고 있다.
정답은?

[아주 굵은 선으로 점 9개를 한 번에 덮어 쓴다.]

이런 넌센스가 수학이라고?
독자들은 당황할수도 있다. 그러나 점점 수학의 세계에 흥미를 느끼게 한다.


이 책은 초등학교 고학년 부터 재미있어서 밤새 읽을 수 있을것이다. 수학에 관한 이야기인데도  술술 읽히고

학생들은 수학관련 주제연구를 할때 아이디어를 얻을 수 도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재밌어서 밤새읽는 수학 이야기 : 프리미엄 편 재밌어서 밤새 읽는 시리즈
사쿠라이 스스무 지음, 장은정 옮김, 계영희 감수 / 더숲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으면서 잠깐 애들 초등학교때 과제연구를 한다고 솔방울을 세던 기억도 나고

수학 공부하기 싫어하는 큰애에게 '수학자가 들려주는 수학이야기'시리즈를 읽어주던 기억도 새록 새록 났다.

그러한 내공이 싸여서 인지 수학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 나에게 이 책은 참으로 익숙했다.

이 책의 저자는 '정말 재미있어서 밤새우게 하는 것이 바로  수학' 이지만 너무도 거대하기에 혼자서 상대하기에 어렵다 면서 기꺼이 수학의 세계의 여행 가이드를 자처하는데 그래서 읽기 쉬웠는지도 모른다.


수학의세계에서 만난 첫번째는 '해바라기' 다. 활짝 피어있는 노란 꽃잎은 사실 수천개의 작은 꽃이 모여 있는데 이 작은 꽃은 피보나치수열 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점점 우리는  일상에서 접하는 수학문제들에 빠져 들게 된다.
스마트 폰의  잠금의 9개의 점을 직선 1개로 한붓 그리기를 할수 있을까?

책은 그림을 통해 충분히 이해 가능하게 돕고 있다.
정답은?

[아주 굵은 선으로 점 9개를 한 번에 덮어 쓴다.]

이런 넌센스가 수학이라고?
독자들은 당황할수도 있다. 그러나 점점 수학의 세계에 흥미를 느끼게 한다.

이 책은 초등학교 고학년 부터 재미있어서 밤새 읽을 수 있을것이다.
세상은 수학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학의 세계로의 여행은 거꾸로 인류의 문명을 살펴보는 여행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북한 언어 탐구생활 - 어쩌면 통역이 필요할지도 몰라
양영철 지음 / 지식의숲(넥서스)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는 평화통일을 이루기 위해 서울말인 표준어와 평양말인 북한의 문화어를 아우르는 통일어의 제정이 필요하다고 보고 이 책을 발간하였다고 한다.

 

이제 만나러 갑니다라는 탈북자들이 나오는 프로그램을 보다보면 가끔씩 문맥상 대충 이해는 되지만 다른말을 사용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되는데

이 책에서 같은 뜻이지만 남과 북이 다르게 쓰는 단어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한 눈에 알아 볼수 있게 테마별로 그림에 단어를 표시하기도 했다.

 

 

앞으로 종전선언이 있게 되면 남북한 사람들의 왕래는 많아 질것이다.

 

언어를 이해하는 것은 상대를 이해하기 위한 초석이 될것이다. 그런면에서 참고해 보기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마에서 24시간 살아보기 - 2000년 전 로마인의 일상을 들여다보는 생활 밀착형 문화사 고대 문명에서 24시간 살아보기
필립 마티작 지음, 이정민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8년 6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서기1379월 초(로마는 늦여름

로마제국14대 황제인 하드리아누스 시절의

어느 하루 24시간을 살았던 사람들을 통해 제국의 생활사를 이야기 하고 있다.

책의 목차를 보면 24시간을 서로 다른 직업, 다른 나이의 스물 네 명의 눈을 통해 소개하고 있다.

로마인들은 자정을 하루 24시간의 시작으로 여겼으나 오후7가 기점이였다고 한다.

이에 따라 로마의 자정은 "HORA NOCTIS VI(밤의 여섯번째 시간)" 이라고 불렀다.

이 책은 바로 그 시간 "HORA NOCTIS VI(밤의 여섯번째 시간)" 순찰대원의 하루에서 시작해서 "HORA NOCTIS V(밤의 다섯번째 시간: 23:00~0:00)" 식객의 하루 에서 끝이 난다.

식객"패러시토스 parasitos" 라고 하는데 저녁식사 친구라는 뜻으로 다소 생소한 직업인데 그 옛날 티브도 없던 시절 별다른 유흥거리도 없던 로마인들에게 식사 자리에서 분위기를 띄우는 역을 했다.

책에 소개된 <풍자시> 의 주인공 세리우스는 마루쿠스 아우루스 만디우스 의 저녁식사 자리에 초대되었다가 그날 일을 곱씹으며 집에 돌아가는 길이였다.

그가 제대로 집에 들어갔을까? 그건 독자만이 알 게 될 것이다.

이 책의 사건들은 하나 하나 독립적인 에피소드지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세리우스 가 참석한 저녁식사는 HORA IX( 아홉 번째 시간 :15:00~16:00) 에 마루쿠스의 부인 리키니아가 심혈을 기울여 준비한 자리였다, 리키니아 는 닷새전에 유명한 요리사 카이킬리우스에게 요리를 부탁해 놓은 상태였고

요리사 카이킬리우스는 열한 번째 시간에 암퇘지 젓통을 이용한 테트라파르마쿰을 준비한다. 그가 까다로운 여주인의 주문으로 암퇘지젖통을 구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는 당시 로마의 인기 있는 요리의 레시피만큼이나 흥미롭다.

24명의 각기 다른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결국 한권의 책을 읽게 되는 셈이다.

그리고 독자는 부지불식중에

노예생활을 하다가 자유의 몸이 되면 자신의 주인의 성을 따게 된다든지

노예 신분이라는게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불운이긴 하지만 노예였다는 것이 후손까지 업신여길 만한 요소가 아니다p.224 라든지 하는 로마인의 상식과 관습등을 알게 된다.

게다가 사진과 당시의 시나 편지들이 소개되어 있어 누구나 흥미롭게 2000년 전 로마제국의 생활사를 알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